2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 김학용 자유한국당 의원이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충북의 연평균 PM2.5 농도는 28㎍/㎥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충북은 2018년에도 초미세먼지 농도가 26㎍/㎥로 17개 광역 시·도 중 1위를 차지해 2년 연속 대기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경기도와 세종시, 충남도와 전북도가 각각 26㎍/㎥로 집계됐다. 서울은 25㎍/㎥를 기록, 전국에서 6번째로 높았다. 전남도와 경남도, 제주도는 19㎍/㎥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았다.
충북에 유독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이유로 지역 주변의 대기오염물질 배출, 분지 지형(청주 등)과 낮은 풍속에 의한 불리한 대기확산 조건 등의 영향으로 추정된다는 게 환경과학원 설명이다.
기초단체별로는 경기 여주가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33㎍/㎥로 나타나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 부천·충남 당진·충북 증평(이상 32㎍/㎥), 전북 익산·충남 아산(이상 31㎍/㎥), 경기 시흥(30㎍/㎥) 순이었다.
김학용 위원장은 "충청권과 경기 남부권은 편서풍을 타고 유입되는 중국발 등 국외 미세먼지의 직접적인 타격을 받는 지역이지만, 정작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은 서울 등 일부 수도권에만 집중돼 있다"며 "면밀한 대책을 통해 미세먼지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실효성 있는 예산 집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미지 확대

미세먼지 뚫고 고향으로 고향으로[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