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7기 출범 이후 공공건설사업에 대한 이슈 증가로 관련 정책 및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경기도 공공건축의 질적 개선을 위한 효율적 수단으로 ‘경기도 공공건축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방향을 제안한 보고서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16일 '경기도 공공건축의 질 향상을 공공건축지원센터 설립을 통해 하자'를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민간부문 건축의 질 및 수준 개선에 앞서 공공건축물이 우선적으로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본계획에 따라 공공건축물의 질적 개선을 건축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인식하고, 공공건축물의 기획 설계 시공 등의 절차적 기준을 규정한 ‘건축디자인기준(안)’을 수립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한편, 2013년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 제정으로 중앙정부 차원의 ‘국가공공건축지원센터’가 2014년 설립돼 운영 중에 있으며, 2018년 법률 개정을 통해 지자체에서도 ‘지역 공공건축지원센터’를 설립·운영할 수 있게 돼 경기도 공공건축의 실질적 향상을 위한 기반이 마련됐다.
경기도는 최근 3년 간 건설공사비 1억원 이상의 공공건축물 공사발주가 약 103건으로, 매년 약 30건 이상의 공공건축물이 건립되고 있다. 공공건축이 지역 공공건축자산으로 축적돼 가는 상황에서 공공건축의 효율적인 수급 관리 및 운영, 합리적인 사업계획 수립, 도시공간환경 안에서의 공공건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공건축지원센터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경기연 강식 연구위원은 "경기도 공공건축의 질 향상을 위한 공공건축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에 있어서 우선 건축정책과 건설정책을 분리하여 접근하고, 기관 간 역할분담이 필요하다"며 "건축은 건설행위를 포함하고는 있으나, 건축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사회·문화·역사적 의미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공공공사의 적정 공사비 및 사업계획에 대한 검토는 ‘경기도 공공투자관리센터’가 일정 부분 수행하고 있고, ‘경기도 공공건설지원센터’가 수행할 예정인 업무 및 기능과 중첩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유관 조직과의 업무분석 및 조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강식 연구위원은 “경기도 공공건축지원센터의 설립형태는 업무추진의 효율성과 장래 타 중간지원조직의 수요 등 운영여건 변화를 감안해 결정해야 한다”면서, “경기도 공공건축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향후 중앙정부의 정책방향과 유사 선진사례를 고려한 단계적 추진방안을 검토하고 로드맵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