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 창업, 환상과 달라...혼돈 참아낼 '끈기'가 필수"

2019-11-08 00:02
  • 글자크기 설정

美스타트업 볼드메트릭스 데이나 번즈 CEO 인터뷰

"기술기업은 CEO+CTO 공동 창업팀 꾸리길 조언"

"창업 초기 혼돈, 끈기·최소 비용·민첩 대응으로 견뎌야"

실리콘밸리는 스타트업(신생벤처기업) 성공신화의 본산이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있어도 이를 현실화할 자본을 구하지 못해서, 혹은 너무 많은 투자를 받아서 실패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끈기가 없어서, 확실한 경쟁우위를 얻지 못해서, 시장에 민첩하게 대응하지 못해서 실패하기도 한다. 실리콘밸리에서 5년을 버티는 스타트업은 절반이 채 되지 않는다는 미국 통계청의 자료는 이러한 현실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그럼에도 실리콘밸리는 여전히 번뜩이는 아이디어와 막대한 돈과 인재가 몰리는 '스타트업의 성지'로 통한다. 이곳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무엇이 필요할까. 아주경제가 최근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볼드메트릭스(Bold Metrics)의 데이나 번즈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그곳의 생존전략을 물었다. 볼드메트릭스는 고객이 의상을 착용했을 때 어떤 모습일지를 보여주는 머신러닝 솔루션 프로그램인 '스마트 사이즈 차트'를 제공하는 회사다. 현재 리바이스, H&M 등 의류회사들과 협업하고 있다.

번즈 CEO는 실리콘밸리에서의 창업은 '환상'과 다르다고 말한다. "창업 초기는 혼돈 그 자체"라고 말하는 그는 실리콘밸리 창업가의 필수적인 자질로 어려움을 버티는 끈기와 높은 위험을 감수하는 배짱, 스트레스와 불안을 다스리는 능력을 꼽았다.

스스로 엔지니어이기도 한 번즈는 기술기업의 창업을 고려하는 이들에게 "CEO와 최고기술경영자(CTO)가 함께 공동 창업팀을 꾸리라"는 현실적인 조언을 내놓기도 했다. CTO를 고용하는 게 아니라 공동 창업자로 있는 편이 험난한 시기에 '끈기'를 가지고 함께 난관을 헤쳐나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엔지니어이자 경영자로서 실리콘밸리에서 스타트업을 이끌고 있는 번즈 CEO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조언들을 아낌없이 풀어냈다.

 

데이나 번즈 볼드메트릭스 최고경영자(CEO)[사진=아주경제DB]


다음은 번즈 CEO와의 일문일답.

-실리콘밸리에서 창업을 한 계기는.
"늘 창업에 관심이 많았다. 공학이랑 데이터사이언스를 전공한 데다 소매 관련업에 종사하는 가정환경도 영향이 있었을 것이다. 과거의 방식을 디지털시대에 맞도록 혁신하는 방향을 생각하게 됐고 회사 창업으로 이어졌다."

-사업 운영의 노하우가 있다면.
"린 경영을 추구했다. 시장에 출시할 최소의 시제품을 만든 다음 진짜 고객들에게 테스트하는 개념을 말한다. 시장에 적합한 제품을 확인하기 위한 하나의 경영 기법이다."

'마른, 얇은'이라는 의미의 단어 'lean'에서 출발한 '린 경영(lean management)'은 최소 기능의 제품을 빠르게 출시해 고객의 반응을 본 후 피드백을 반복해 최적의 상품을 만드는 경영 전략을 의미한다. 처음부터 세상을 놀라게 할 제품을 만들기보다 시장의 반응을 민첩하게 살피고 낭비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오늘날처럼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 적합한 전략으로 꼽힌다. 

-스타트업계의 최근 트렌드가 있나.
"데이터사이언스와 인공지능(AI)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스타트업이 많아지고 있다. 개인과 기업이 콘텐츠를 만들고, 정보와 데이터가 계속 쌓이고 있기 때문에 이런 자료를 보다 가치있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AI는 이 데이터를 가져다가 문제 해결에 활용할 뿐 아니라 데이터가 활용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체계화하는 역할을 한다."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의 실패 사례도 많아지는데.
"아이디어를 현실화할 자본을 구하지 못해서 흐지부지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너무 빨리 너무 많은 투자를 받는 것도 문제가 되기도 한다. 기업이 필요한 제품을 만들어내지 못한다면 당연히 실패할 만한 이유겠지만, 투자 유치 측면에서 본다면 미묘한 균형이 필요하다. 또 시장에서 가치 있는 제품을 최대한 빨리 식별해야 한다."

-실리콘밸리 창업자에 가장 필요한 자질이 있다면.
"누구나 스타트업을 하고 싶어하지만 얼마나 힘든지는 잘 모르는 게 사실이다. 솔직히 끈기가 가장 중요하다.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는 능력 역시 필수적이다. 높은 위험을 감수하는 배짱이 필요하다. 많은 사람들은 안정적인 직업이나 안정적인 수입을 원한다. 그러나 스타트업이나 기업을 운영하기 시작하는 순간 그런 것은 다 사라진다. 처음엔 혼란 그 자체다. 그런 순간에도 침착함을 유지해야 한다. 엄청난 위험과 불확실성 속에서 스트레스와 불안을 다스리는 게 중요하다."

-실리콘밸리에서 창업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조언을 한다면.
"기술기업을 상대로 말한다면, CEO와 CTO가 함께 공동 창업팀을 꾸리라는 것이다. CTO를 고용하는 게 아니라 공동 창업자로 두는 건 중요하다. 어려운 시기에 고용된 사람과 공동 창업자는 '끈기'의 수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 한가지 조언은 '불공정한 경쟁우위(unfair advantages)'를 가지라는 것이다. 해당 업계에서 남들에겐 없는 비교 불가한 경쟁력을 의미한다."

-실리콘밸리에서 살아남지 못하는 스타트업은 기술이나 잠재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봐도 무방할까.
"번뜩이는 아이디어나 제품 없이 실리콘밸리에서 스타트업을 시작하는 건 쉽지 않다. 그러나 첫 스타트업은 실리콘밸리가 아닌 다른 데서 시작하는 게 나을 수 있다. 실리콘밸리에선 워낙 돈이 많이 들어서다. 사업 초반에는 비용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게 좋다. 이런 측면에서 실리콘밸리는 벤처캐피탈 투자가 들어오는 성장 단계의 기업들에게 더 적당하다고 본다. 또 원격으로 근무하는 문화도 확산하는 추세다. 우리 역시 미국 전역에 직원을 두고 있다. 이렇게 하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인재를 채용할 수 있다. 원격 근무는 근무 유연성을 확대하고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해준다."

-실리콘밸리의 미래를 어떻게 보나.
"실리콘밸리엔 특별한 게 있다. 확실한 건 수많은 벤처캐피털이 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이제 세계가 경쟁보다 큰 하나의 공동체로 가고 있는 것 같다. 나라 간 협업이 확대되고 연결도 촘촘해지고 있다. 실리콘밸리가 벤처 커뮤티니와 함께 성장하듯 앞으로는 다른 국가의 벤처 커뮤니티의 급속한 성장과 전 세계 기업들이 함께 일하는 협력적 환경이 될 거라고 본다. 그리고 점점 더 많은 회사들이 특정 지역에 얽매이지 않고 있고, 세계가 누구나 온라인에 접속할 수 있는 디지털 세계로 전환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