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시가 라돈을 측정한 지하철 역사 52곳 중 WHO 기준을 초과하는 역사는 5곳으로 나타났다.
라돈은 방사선을 내는 1급 발암물질로 폐암 발병의 원인 중 하나다.
특히 미국 환경청 기준을 초과하는 역사는 13곳으로 확인됐고, 환경부 다중이용시설 권고 기준을 초과하는 역사는 4곳으로 나타났다.
성신여대입구역의 경우 313.9 Bq/㎥로 WHO 기준보다 3배 이상 라돈이 검출돼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고, 보문역(194.7 Bq/㎥), 북한산보국문(193.8 Bq/㎥), 솔샘(158.2 Bq/㎥), 삼양(131.2 Bq/㎥) 등이 뒤를 이었다.
신 의원은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는 지하철 역사에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다”라며 “지난 라돈침대 사태 이후 많은 국민들이 여전히 라돈공포에 시달리고 있는 만금 대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52개 역사만 대상으로 한 조사이기 때문에 실제 더 많은 역사에서 라돈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될 수도 있다”며 “국민안전에 관한 문제이니만큼 주무부처인 원안위가 주도적으로 전수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역사 내 라돈물질은 성인뿐만 아니라 영·유아에게도 유해한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 [사진=신용현 의원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0/07/20191007153510516004.jpg)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 [사진=신용현 의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