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 침대’ 사태를 불러온 원료물질인 모나자이트 3.35톤이 아직까지도 국내 행방이 묘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간사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이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모나자이트를 구입한 업체 66곳 중 폐업한 9곳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이들이 보관하고 있었던 3.35톤의 행방확인이 불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행방확인이 안 되는 모나자이트 3.35톤 이외에도 내수용 가공제품 업체가 332.3㎏를 보유하고 있어 그 다음으로 많았고, 수출업체가 103㎏, 실험연구 업체 17㎏ 순으로 현재 보관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나자이트는 음이온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침대 등 여러 상품에 사용됐지만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방출된다는 사실이 보도되면서 논란이 된 대표적 방사성 물질이다.
신용현 의원은 “‘라돈 침대’ ‘라돈 베개’ 등에 대한 피폭 우려가 잦아들지 않는 상황에서 3.35톤에 달하는 모나자이트의 관리상태가 사건 발생 1년이 지난 현 시점에도 불분명하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면서 “행방확인이 안되는 모나자이트 외에도 업체 보관 중인 454.3㎏에 대해서도 속히 폐기 절차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신용현 의원은 “원안위 국감을 통해 행방이 묘연한 모나자이트들에 대해 확실한 행방파악과 회수에 힘쓰는 등 더 이상의 생활방사선 피해를 막고 예방을 위한 관련 제도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간사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이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모나자이트를 구입한 업체 66곳 중 폐업한 9곳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이들이 보관하고 있었던 3.35톤의 행방확인이 불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행방확인이 안 되는 모나자이트 3.35톤 이외에도 내수용 가공제품 업체가 332.3㎏를 보유하고 있어 그 다음으로 많았고, 수출업체가 103㎏, 실험연구 업체 17㎏ 순으로 현재 보관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나자이트는 음이온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침대 등 여러 상품에 사용됐지만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방출된다는 사실이 보도되면서 논란이 된 대표적 방사성 물질이다.
신용현 의원은 “원안위 국감을 통해 행방이 묘연한 모나자이트들에 대해 확실한 행방파악과 회수에 힘쓰는 등 더 이상의 생활방사선 피해를 막고 예방을 위한 관련 제도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