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등 대외여건 악화로 경제주체들의 심리가 위축되고, 경기가 둔화하면서 금융안정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이 26일 금융통화위원회에 제출한 '금융안정 상황(2019년 9월)'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한계기업이 외감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2%로 전년 대비 0.5% 포인트 상승했다. 한계기업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인 기업이다.
한계기업은 채무상환능력이 취약한 데다 저신용등급 또는 자본잠식 상태인 기업이 많아 경영 여건이 더 악화하면 부실위험이 급증한다.
업종별로는 조선(24.0%), 해운(16.8%), 운수(18.7%), 부동산(22.9%), 숙박음식(35.8%) 등 분야의 한계기업 비중이 전체 평균을 상회했다.
이자보상배율이 2년 연속 1 미만으로, 향후 한계기업이 될 가능성이 높은 기업 비중은 2017년 19.0%에서 2018년 20.4%로 상승했다. 이들 기업 중 실제 한계기업으로 전이되는 비율도 53.8%에서 63.1%로 올랐다.
조사 대상 기업의 이자보상배율은 지난 1분기 4.7배로 전년 동기(9.5배)에 비해 절반 가까이 하락했다. 자기자본 대비 부채비율도 1분기 80.8%로 전년 동기(78.1%) 대비 상승했다.
금융기관의 한계기업 여신규모는 지난해 말 107조9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7조8000억원 증가했다. 외감기업 전체 여신 내 한계기업 여신의 비중은 13.8%로 전년 말 대비 0.4% 포인트 상승했다.
한은은 "교역여건 악화, 경기둔화 등으로 기업 채무상환능력이 전반적으로 낮아지고 한계기업도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신용위험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가계부채 건전성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가계부채는 올 2분기 1556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여전히 증가 추세이지만 증가폭은 전년 대비 4.3%로 둔화됐다. 다만, 부채증가율이 소득증가율을 상회하면서 가계부채비율(처분가능소득 대비)은 전년 동기 대비 2.4% 오른 159.1%(2분기 추정치)였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상호금융을 중심으로 상승 흐름으로 전환했다. 상호금융에서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지난 2분기 2.09%로 전년 동기(1.66%)에 비해 0.43% 포인트 증가했고, 같은 기간 연체율은 1.43%에서 1.88%로 증가했다.
금융안정 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20개 월별 지표를 토대로 산출하는 금융안정지수도 지난 3월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다가 8월에 8.3으로 주의 단계(8~22)에 진입했다. 주의 단계에 진입한 것은 중국 증시와 국제유가가 폭락했던 2016년 2월(11.0) 이후 처음이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대외여건 악화, 국내 경기 둔화 등으로 최근 들어 금융안정 관련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며 "채무상환능력이 취약하고 저신용등급 및 자본잠식 상태인 한계기업의 비중이 높아 경영여건이 추가로 악화될 경우 부실위험이 크게 증대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