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경제성장률(GDP)이 1.0%에 간신히 '턱걸이'를 했다. 국민총소득(GNI)은 전기대비 0.2% 증가에 그쳤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9년 2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올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459조8134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0% 증가했다. 실질 GDP 증가율은 지난 7월 발표된 1.1%보다 0.1%포인트 낮아졌다.
한은 관계자는 "정부소비와 총수출이 하향 조정됐다"며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로 정부소비 증가율이 높은 추세인데, 여기서 수정된 영향이 컸다"고 말했다.
앞서 전기 대비 GDP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1.0%, 2분기 0.6%, 3분기 0.5%, 4분기 0.9%를 각각 기록한 바 있다.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은 -0.4%였다.
2분기 GDP를 지출항목별로 살펴보면 정부소비(2.2%)가 늘어난 반면 민간소비(0.7%)는 여전히 부진했다. 정부소비는 증가는 물건비 및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이 늘어난 결과다. 사실상 정부가 풀어놓은 재정으로 간신히 1.0% 성장을 이뤄낸 셈이다.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는 각각 1.4%, 3.2% 증가했지만, 1분기 마이너스 성장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한 영향이 컸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건설투자는 3.5%, 설비투자는 7.0% 줄었다.
수출은 반도체·자동차 등이, 수입은 기계류 등이 증가세를 이끌어 각각 2.0%, 2.9% 증가했다. 모두 1분기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했다.
성장률을 산업별로 나눠 보면 제조업은 코크스·석유정제품(13.1%), 컴퓨터·전자·광학기기(10.5%)가 급반등한 반면 섬유·가죽(-10.8%), 비금속광물(-7.8%), 기계·장비(-7.3%) 등은 부진했다.
서비스업은 의료·보건·사회복지(2.1%), 운수(1.9%), 사업서비스(1.5%)가 많이 늘었고, 정보통신(-1.5%), 문화·기타(-0.7%), 부동산(-0.4%)은 감소했다.
올해 성장률 달성 가능 여부에 대해 한국은행 관계자는 "미·중 무역분쟁과 지정학적 리스크 등 하방위험 요인이 얼마나 실현되는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은은 지난 7월 올해 성장률을 2.2%로 전망했다. 1분기 역(逆)성장의 기저효과가 깔린 2분기 성장률(1.0%)에 이어 3·4분기에 0.9∼1.0%씩 성장해야 도달할 수 있는 수치다.
GDP 디플레이터는 -0.7%를 기록했다. 2006년 1분기(-0.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GDP 디플레이터는 일종의 'GDP 물가' 개념으로, 소비자·수출·수입물가지수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