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오는 9월부터 3000억 달러(약 363조6000억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애플 아이폰 제품에 10%의 관세가 붙을 전망이다. 지금까지 관세를 적용받지 않았던 의류와 장난감 등 일상 제품에도 관세가 적용돼 타격이 불가피하다.
또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중국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의 제품 구매를 금지하는 조치까지 내놓으면서 중국을 압박했다. 이에 대해 미국산 농산물 수입을 중단하기로 한 중국이 달러-위안 환율이 7위안 선을 넘어서도록 허용하면서 새로운 미·중 갈등 요소로 떠올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무역합의를 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위협하면서 오는 9월 예정된 미·중 고위급 실무 회담이 취소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정책국장이 9월 중 미·중 협상 가능성을 열어뒀지만 무역갈등에 대한 불안감은 해소되지 않을 전망이다.
위안화의 추가 절하 여부도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주 달러-위안의 거래 기준환율을 7위안선 위로 올리면서도 가파르게 절하시키지는 않은 상태다. 다만 미국과의 대립이 장기화될 경우 달러-위안 기준환율을 추가 압박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글로벌 경제가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는 가운데 유럽발 지정학적 우려도 시장에 타격을 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단 10월 31일을 시한으로 두고 있는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의 불확실성이 크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노딜 브렉시트(영국이 아무런 합의없이 EU를 탈퇴하는 것)도 불사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 탓이다. 이탈리아에서는 연립정부 붕괴로 조기 총선이 불가피한 상황이 되면서 이탈리아 국채금리가 급등하는 등 불안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 국채금리가 추가 하락할지 여부도 변수 중 하나다. 지난주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3년여 만에 최저 수준인 1.6% 아래로 떨어지면서 증시 내 투매 현상이 발생한 탓이다.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소매판매 지표 등 향후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 방향에 영향을 줄 주요 지표에도 시장의 관심이 모아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