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의 경우 초대형 컨테이너선 접안이 가능한 세계 3위 규모의 동북아 중심 항만으로 육성하고, 울산 신항은 동북아 에너지 허브 항만으로 발전시킨다. 제주신항은 크루즈 등 해양관광 인프라를 풍부하게 갖춘 항만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대대적인 중장기 신항만 건설계획에는 미래 해양시대를 주도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담겼다.
정부는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86차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 같은 중장기 개발계획을 담은 '제2차 신항만건설 기본계획'(2019∼2040)을 확정했다.
신항만건설 기본계획은 항만의 체계적인 개발을 위해 정부가 마련한 최상위급 계획으로, 1997년 최초 고시 후 20년 만에 수립됐다.
앞서 해수부는 1차 신항만건설 기본계획 고시 이후 전국 10개 신항만에 부두 156선석, 배후부지 1176만㎡를 조성했다.
특히 부산항 신항은 지난해 2166만 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의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등 컨테이너 물동량 기준 세계 6위, 환적물량 기준 세계 2위 항만으로 올라섰다. 광양항 역시 지난해 세계에서 11번째로 3억t 이상의 화물을 처리하는 종합물류항만으로 성장했다.
이번 2차 기본계획에는 전국 12개 신항만에 2040년까지 재정 16조819억원, 민자 25조7734억원 등 총 41조8553억원을 투자한다. 부두 총 119선석, 배후부지 3956만㎡를 조성하고 연간 4억3000만t의 화물 처리시설을 추가로 확보한다. 2040년이 되면 현재 13억2000t인 화물처리는 18억5000만t으로, 2727만TEU인 컨테이너 물동량은 4873만TEU까지 높아질 것으로 해수부는 기대하고 있다.
특히 2차 계획에는 4차 산업혁명 기술 발달, 신남방·신북방 정책 추진, 선박 대형화, 친환경 LNG 추진선 출현, 항만 미세먼지 저감 등 항만과 관련한 대내외 여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반영했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1차 계획이 양적인 확충이었다면, 2차는 질적인 구축이 될 것"이라며 "선박 규모의 대형화에 대응하고, 기술의 발달과 대외여건의 변화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대형 선석과 배후부지 조성 외에도 항만 화물처리 과정에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5G 등의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한 스마트항만도 부산항 신항과 인천신항에 도입할 예정이다.
또 친환경 LNG 선박 추진 확대에 따라 LNG 선박 급유시설뿐만 아니라 2만 TEU 이상의 대형선박 수리가 가능한 '수리조선단지'도 조성할 방침이다.
문 장관은 "경쟁국인 일본과 중국, 싱가포르 등도 대형화를 비롯해 질적인 성장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번 계획에 따라 신항만 개발을 차질 없이 추진해 우리나라가 항만물류 선진국으로서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계획에는 제주신항과 동해신항을 추가로 지정, 제주신항은 중장기적으로 크루즈 등 해양관광 중심항으로, 동해신항은 환동해 전진기지로 육성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