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보건환경연구원,혹서기 가축 관리요령 알리기에 총력

2019-07-11 09:58
  • 글자크기 설정

가축도 덥다. 폭염 피해 대비 당부


인천시보건환경연구원은 여름철 혹서기를 맞아 가축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축종별 농장관리에 신경 써 줄 것을 당부했다.

최근 30도가 넘는 날씨가 이어지면서 역사상 가장 무더웠던 지난 여름의 악몽이 되살아나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지난해 폭염일수는 31.4일로 역대 최악의 더위로 기록됐던 1994년 31.1일의 기록을 넘었다.
지난해는 7월 전국 평균 폭염일수가 15.5일로 평년 3.9일에 비해 5배 가까이 높은 수치를 기록했고, 8월도 상황은 비슷해 폭염일수는 14.3일로 평년 5.3일의 3배에 달했다.

이 같은 여름철 폭염은 특히 가축 생산성과 직결된다. 그래서 폭염에 따른 고온 스트레스를 대비한 철저한 사양관리는 반드시 필요하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는 지난해만큼 길지는 않지만 30도를 웃도는 폭염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전망된다. 예보로는 다음 달 후반에는 주로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무덥고 습한 날씨가 되겠고 기압골의 영향을 받을 때가 있어 기온의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인천시에는 현재 소 628농가 23,424두, 돼지 47농가 42,109두, 닭 17농가 73만수 규모의 가축을 사육하고 있다.

물안개살포[사진=인천시]


▶젖소
폭염일수 빈도·더위 강도 따라 원유생산량 차이가 극명하다.
사상 최악의 폭염 일수를 기록한 지난해 7월과 8월 원유생산량은 최저치를 기록했다.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천장이나 운동장에 차양막을 설치해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깨끗하고 시원한 물을 충분히 공급해야 하며, 소화가 잘 되는 질 좋은 조사료를 먹이고 농후사료 비율을 높여줘야 한다.

이와 함께 비타민과 광물질을 사료에 섞어 먹이고 소금은 자유롭게 먹을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은 물론 한낮에는 찬 물을 뿌려 줘 체감온도를 낮추는 것이 좋다.

▶돼지
비발열성 동물로 계절적으로 하절기 가장 취약해 돈사내 온도 상승‧고온스트레스 유발로 인한 피해가 가장 많이 발생된다.

폭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돈사에 송풍기를 설치해 시원한 바람이 들어오도록 하고 지붕에 물을 뿌려 돈사 내 온도가 너무 올라가지 않도록 해야 하고, 어미돼지는 고온에 예민하므로 체온이 높아지지 않게 하고 아미노산, 비타민 급여로 면역력 저하를 방지한다.

▶닭
몸 전체가 깃털로 쌓여 있고 땀샘이 발달돼 있지 않아 체온조절이 어려워 여름철 폭염으로 폐사에 이르기 쉬운 가축이다.

실제로 지난해 폭염으로 908만 마리의 가축이 폐사한 가운데 902만 마리가 닭·오리 등 가금류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계사 지붕 위에 물을 뿌려 축사 내부온도를 내려주고 닭장 안은 환풍기 등으로 강제통풍을 하는 등 각별히 여름철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이밖에도 시원한 물을 충분히 먹이는 것은 물론 좁은 곳에 너무 많이 사육되지 않도록 적정 마릿수를 유지하고 배합사료는 상하지 않도록 적은 양을 자주 구입하는 것이 좋다.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축산관련종사자를 대상으로 폭염에 대비한 사양관리 교육을 실시하고, 고온으로 인한 피해 우려시 MMS 문자를 활용한 실시간 정보제공을 할 예정이다. 또한 방역차량을 이용해 축사에 살수지원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올 여름에도 폭염일수가 열흘 이상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폭염에 취약한 가축 사육 농가의 시설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드린다.”며, “농가에서 농장 주변 환경개선과 스트레스 발생 주요인으로 작용하는 과밀사육 금지 등 예방조치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