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1주년을 기점으로 비핵화 협상 재개를 향한 남·북·미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이달 말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을 전후해 남북 정상이 '원포인트 회담'을 할 가능성이나, 나아가 '남·북·미 정상회담'이 전격 성사될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6월 중 남북정상회담이 가능한지는 저도 알 수 없다"며 "남북 간 짧은 기간에 연락과 협의로 정상회담을 한 경험이 있기에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지는 않다"라고 말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친서외교'를 가동하는 한편, 자신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을 통해 고 이희호 여사 별세에 대한 조의를 남측에 전달했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이 12일 조화 전달을 계기로 김여정 제1부부장과 접촉해 사실상 고위급 회동을 하면서 4차 남북 정상회담 개최에 공감을 나눈 것 아니냐는 시각도 나온다.
김 제1부부장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남북, 북·미 정상회담이 필요하다'는 민주평화당 박지원 의원의 제안에 "김정은 위원장께 그런 말씀을 보고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4차 남북 정상회담이 개최된다면 가능한 시기는 다음 주, 즉 20일 전후가 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북유럽 3개국을 순방 중인 문 대통령이 오는 16일 귀국하고, 28~29일에는 일본 오사카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남·북·미 실무급 레벨에서 비핵화 협상이 가시화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모건 오테이거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12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1년 전 약속(센토사 공동선언)이 결실을 맺기를 원한다”며 “실무 차원에서 그렇게 할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지난 12일 스웨덴으로 급거 출국했다. 문 대통령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에게 남·북·미 간 별도의 소통상황을 보고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또 이 본부장은 오는 19일에는 워싱턴에서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만난다. 북한과의 실무협상에 나서야 하는 비건 대표와 한·미 북핵수석협의를 갖고 사전 협상전략을 조율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건 대표가 12일(현지시간) 뉴욕에서 15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이사국들과 비공개 회동을 한 것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이사국들의 대북제재 이행 의지를 재확인하는 한편 향후 대북 협상전략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그는 김 위원장의 친서와 이희호 여사 별세에 대한 조의문과 조화 전달 등에 대해 “긍정적 신호로 본다”는 취지의 언급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대북 낙관론을 펴면서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함에 따라 비핵화 협상 재개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김 위원장의 친서로 북·미 대화 재개의 긍정적 신호가 마련됐지만, 1·2차 정상회담 성사 때와 달리 실무협상을 통한 실질적 비핵화 진전을 담보한 후 정상회담에 응하겠다는 기조로 풀이된다.
CNN이 소식통을 인용, 김 위원장의 친서에 비핵화 대화를 진전시키는 구체적인 내용이 없다고 전해 미국으로선 비핵화 성과에 대한 담보가 여전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대북 제재를 지렛대로 비핵화 빅딜을 견인하겠다는 기존 입장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