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사고에 대하여 합동조사단은 6월 3일 중간발표를 통해 스틸렌모노머(90%)와 에틸벤젠, 알파메틸스틸렌, 중합방지제, 중합지연제 등이 약 97.5톤(1차 94.1톤, 2차 3.4톤, 폼소화제 포함)이 유출과 총 2,330건(‘19. 5. 29. 기준)의 진료기록이 있었다며 그 사고 규모를 밝혔다.
장의원은 ‘이러한 큰 사고에도 불구하고 사고 당시 안이한 충남도의 대응이 적절했는가?’에 대하여 비판하며 ‘재해 안전이론을 바탕으로 현실에 부합되는 실질적인 대응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장의원은 ▲도지사 부재 시 재난대응시스템의 미작동, ▲실시간 상황판단회의 실패, ▲주민들에 대한 적절한 상황전파 및 대피조치 미실시, ▲상황 종료 후 뒤늦은 지휘부의 현장 방문에 대하여 꼬집었다.
이에 양승조 도지사는 ‘이번 기회에 충남의 화학재난 대응시스템에 대해서 재점검하고 대산공단의 화학사고에 대비하여 전문가를 파견, 상주시키는 방안 등 대책을 마련하겠다’며 사고의 예방과 적절한 대응을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며 대산공단 뿐만 아니라 충남의 전반적인 재해예방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장 의원은 ‘화학재난 발생 시 주민의 생명과 안전이 최우선적으로 판단되길 바란다’며 양승조 도지사와 충남도에 주민을 먼저 생각하는 대응책 마련을 재차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