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거시경제 정책을 총괄하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는 지난 4~5일 글로벌 하이테크 기업 10여곳 관계자들을 불러 면담하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과의 거래금지 조치에 협조하면 "심각한 결과(dire consequences)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 뉴욕타임스(NYT) 등이 소식통을 인용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면담 대상 기업엔 글로벌 반도체 기업인 인텔, 퀄컴, ARM, 델을 비롯, 마이크로소프트(MS), 노키아, 시스코 등이 포함됐다. 우리나라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면담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수 소식통에 따르면 발개위는 면담 자리에서 중국 내 생산기지를 해외로 이전해 중국 현지 파트너와 관계를 끊거나 중국 현지 기업에 대한 제품 납품을 중단한다면 처벌당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또 중국은 다국적 기업이 미국 법률을 준수해야 하는 걸 이해한다면서도 중국에 대한 투자를 줄여서는 안 된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이는 최근 미·중 간 무역전쟁 격화 속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추가 관세폭탄을 투하하고 화웨이에 대한 거래 중단을 지시하는 등 대중 압박 수위를 높이자, 중국 정부가 대응 조치에 나선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지난달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안보 위협을 이유로 화웨이와의 거래를 차단하고 나서자, 중국 상무부는 즉각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 일종의 '블랙리스트'를 들고 나왔다. 이는 중국기업에 대한 공급을 차단해 중국기업의 정당한 권익을 훼손하는 외국기업 등을 겨냥한 것으로, 사실상 미국의 화웨이 제재에 대한 보복조치로 풀이됐다.
여기에 더해 중국은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기술안전관리 리스트'도 만들 예정이라고 8일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이는 사실상 중국도 국가 안보 위협을 이유로 내세워 해외 기업과 핵심기술 전문가들에 대한 제재를 가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처럼 미·중 간 대결 격화 속에서 중간에 끼인 우리나라 기업들이 '유탄'을 맞을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커질 전망이다.
특히 가뜩이나 중국 당국으로부터 반도체 반독점 조사를 받고 있는 삼성과 SK하이닉스로서는 미·중 간 무역전쟁이 반독점 조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됐다.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지난해 5월부터 벌여온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을 대상으로 한 불공정거래 혐의 조사를 최근 마무리하고 징계방안을 논의 중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