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수소생산기지구축사업 지원 대상으로 서울 강서구와 강원도 삼척, 경남 창원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사업은 액화석유가스(LPG)·압축천연가스(CNG)충전소 또는 버스 차고지 등 수소 수요지 인근에서 액화천연가스(LNG) 추출을 통해 수소를 생산해 수소버스 충전소에 우선적 공급하고, 나머지는 인근 수소충전소에 공급하기 위한 사업이다.
수소차와 수소버스 보급사업 지원을 위해 수소 수요가 많거나 부생수소(석유화학 공정에서 발생한 부산물에서 추출한 수소) 생산지 등 기존 수소생산기지와 거리가 먼 지역에 분산형 수소생산시설을 구축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정부는 다음 달부터 전국에 수소버스 35대를 보급할 예정이다.
이중 서울에 가장 많은 7대가 보급되는데 강서구는 인근에 버스차고지가 많이 있어 수소생산기지로 선정됐다.
창원은 수소버스 5대가 보급될 예정이지만 기존 수소생산기지와 거리가 멀어 운송비용이 많이 드는 점, 삼척은 수소버스 보급 계획은 없으나 인근에 부생수소 생산시설이 전혀 없다는 점 때문에 우선 선정했다고 산업부는 밝혔다.
3개 지역의 생산기지는 다음 달 착공해 내년 9월께 완공된다.
생산기지당 하루 약 1000∼1300kg을 생산해 약 30∼40대 버스에 공급할 예정이며 수소 판매가격은 울산, 대산 등 부생수소 지역의 공급가격에 맞춰 결정한다.
산업부는 올해 3개소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모두 18개 수소생산기지를 구축할 방침이다. 또 올해 말까지 누적 기준 총 86기, 2022년까지 310기 수소충전소 구축을 완료하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수소생산생산기지가 완공되면 수소 수요 인근 지역에서 직접 수소 생산과 공급이 가능해져 운송비가 절감되고 최종 소비자에게 보다 저렴하게 수소 공급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주민 불안이다. 지난 23일 강릉 수소탱크 폭발 사고는 실제 인명피해가 큰 것은 말할 것도 없고 폭발현장이 폭격을 맞은 듯 처참했다. 수㎞ 떨어진 곳에서도 '쾅' 굉음이 들리고 인근 건물의 유리창도 폭발충격으로 대부분 파손됐다.
수소탱크의 가공할 폭발력을 확인한 사고로 '수소'라는 단어가 가진 공통점 탓에 수소제조설비의 안전성에 대한 주민 불안감은 증폭되고 있다.
정부는 사고가 발생한 수소탱크와 수소차·수소충전소는 안전성과 관리기준이 다르다면서 불안감 확산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이번과 같은 사고가 한번 발생하면 안전과 관련 불안은 증폭되기 마련이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핵심인 수소충전소 인프라 구축이 주민 반발에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압축천연가스(CNG) 탱크만 해도 충전 과정에서 사고가 나면 관련시설을 확산하기가 어렵다"며 "앞으로 수소충전소 확산 과정에서 이번 사고가 지역 주민들에게 부정적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