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대중 추가 관세 제재 대상에 IT 기기 등을 포함시킨 건 '세계의 공장'인 중국의 첨단 제조업을 직접 타격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미국 소비자들도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본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특히 스마트폰이 '양날의 검'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도 그럴 것이 휴대폰은 미국에서 찾을 수 있는 대표적인 '메이드 인 차이나' 제품이다. 미국이 지난해 중국에서 수입한 휴대폰은 430억 달러(약 51조원)어치에 이른다. 전체 중국산 제품 수입액 5400억 달러의 10%에 가깝다. 미국의 중국산 휴대폰 의존도가 78%에 달해 단기적으로 이를 다른 나라 제품으로 바꾸기는 어렵다.
시장에서는 애플이 중국에서 생산하는 아이폰의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게 떠넘기면, 주력모델인 '아이폰XS' 가격이 최저기준 999달러에서 1159달러로 160달러, 약 16% 오를 것으로 본다. 안 그래도 최근 스마트폰 가격이 부쩍 오르면서 교체 수요가 줄고 있는 마당에, 소비자가 관세 부담까지 떠안게 되면 판매가 줄기 쉽다. 애플을 비롯한 미국 기업들은 관세 비용을 책임지지 않으면 판매 감소를 감수해야 하는 딜레마에 빠지게 되는 셈이다. 어느 쪽이든 실적에 악영향이 불가피하다.
노트북 등 다른 IT 기기도 스마트폰과 크게 다를 바 없다. 미국은 중국에서 지난해 375억 달러어치의 노트북을 수입했다. 중국산 의존도가 90%를 넘는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 폭탄관세 '4탄'을 실행에 옮기고 중국도 다시 보복에 나서면 스마트폰을 비롯한 소비재의 수요 침체가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이 경우 미국과 중국의 무역이 장기적으로 30~70% 감소해 미국과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이 최대 0.6%, 1.5%씩 쪼그라들 수 있다고 예상했다. 미국에서는 약 216만명이 실업자로 전락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물론 추가 조치가 실제 발동되기까지는 아직 시간적인 여유가 있다. USTR은 다음달 17일 업계의 의견수렴을 위한 공청회를 예고했다. 공청회에서 관세조치 발효까지 최소 1개월 정도 걸린 전례대로라면 추가 폭탄관세 조치는 빨라야 7월 하순쯤에나 발동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시장에서는 중국의 추가 보복 카드로 미국 국채 투매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의 후시진 편집장은 13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미국과의 갈등 고조로 중국 학자들이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를 투매하는 방안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고 밝혀 우려를 부추겼다.
1조1000억 달러어치의 미국 국채를 보유한 중국은 미국의 최대 채권국이다. 중국이 미국 국채를 대거 내다 팔면 시장은 물론 미국 경제와 재정안보에 충격을 줄 수 있다. 미국 국채 투매는 중국에도 위험한 카드다. 미국 국채가 중국 자산 포트폴리오의 핵심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를 처분하면 중국의 자산 가치가 위태로워질 수 있다. 중국의 미국 국채 투매 카드가 '핵옵션'이라고 불리는 이유다.
중국의 유명한 관변학자인 진찬룽(金燦榮)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부원장은 최근 "중국은 △희토류 전면 수출 금지 △미국 국채 매각 △미국기업 추방이라는 세 가지 카드가 있기 때문에 무역전쟁의 승자는 결국 중국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