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태금융 금융포럼 미리보기] 왜 5차 환율전쟁인가?

2019-03-11 06:30
  • 글자크기 설정

[사진=연합뉴스]

글로벌 패권 쟁탈전이 지속되면서 금융시장에도 전운이 감돌고 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G2 무역전쟁은 이미 '5차 환율전쟁'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만일 G2 무역전쟁이 환율전쟁으로 확산된다면 '신(新)플라자합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적지 않다.

세계는 1930년대 대공황 이래 4차례의 환율전쟁을 치러야 했다. 대공황 시절 프랭클린 루스벨트 전 미국 대통령에 의해 촉발된 1차 환율전쟁, 1970년 브레턴우즈 체제를 붕괴시킨 닉슨 쇼크로 촉발된 2차 환율전쟁, 1985년 플라자 합의로 촉발된 3차 환율전쟁,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촉발된 4차 환율전쟁이 그것이다.

4회에 걸친 환율전쟁의 공통점은 모두 미국이 주도했다는 것이다. 특히 미국의 대통령 앞장서서 주도했다. 대공황 이래 미국은 자신들의 경제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의도적으로 환율전쟁을 일으킨 것이다. 그동안의 모든 환율전쟁은 미국의 일방적 승리로 끝났다. 이로 인해 달러 가치는 1934년 이래 80년 동안 의도적으로 93%나 낮아졌다.

현재 진행 중인 5차 환율전쟁은 오바마 전 대통령 시기에 기획돼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하고 있다. 기축통화 지위를 넘보는 중국의 위안화 등에 맞서 '강달러' 위상을 지키기 위해서다.

미국은 제조업 비중이 국내총생산(GDP)의 10% 남짓한 국가로 환율이 미국 상품의 수출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력은 극히 제한적이다. 환율이 미국의 무역적자를 크게 호전시키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율전쟁을 촉발하는 이유는 달러의 기축통화로서의 위상을 지키기 위함이다. 사실 미국은 약달러 정책을 지향하면서도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 '강달러'를 함께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강달러의 의미는 돈의 실질적 가치를 높이는 것이 아닌, 기축통화로서의 강한 힘을 의미한다. 달러를 요구하는 시장을 확장하기 위해서다. 

이 같은 제5차 환율전쟁 시기에는 한국경제도 다양한 대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원화도 무역흑자로 인해 많이 평가절상됐기 때문에 이에 따른 압력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인위적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할 상황도 아니다. 따라서 환율 변동과 관련해서는 일정 부분 시장에 맡길 수밖에 없다. 수출기업들의 환율에 대한 연구와 철저한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오정근 건국대 금융IT학과 특임교수는 "1980년대 중반에 미국이 '슈퍼 301조'를 발동하는 등 미·일 환율전쟁 유탄을 한국이 고스란히 맞으면서 경상수지 흑자가 5년 만에 적자로 돌아선 적이 있다"며 "이번 중국과의 환율전쟁에서도 희생양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외교적‧정책적 노력 등이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