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울산까지 담수를 끌어다 쓰는 송수관 설치 등 과도한 비용, 울산 산단 입주 기업들의 물 수요 대비 수익성 등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정부와 부산시는 해수담수화 시설 활용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지만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담수용 취수 다변화, 기장군에서 타 지역으로 플랜트 시설 이전 등이 거론되기도 했지만 과도한 비용 문제에 막혀 흐지부지 됐다.
울산 공업용수 활용안도 해수담수화 특성상 거주지와 가까운 곳에 설치할 수 있어 송수관의 길이를 줄이는 장점이 사라진다는 문제가 있다. 부산 기장군에서 울산 산단까지 송수관 설치 비용이 그만큼 늘어나기 때문이다.
하루 최대 4만5000t의 담수를 소화하려면 공업용수 외 다른 활용방안도 찾아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현재 해수담수화 시설은 원전 냉각용수 활용 1만t 외 별 다른 사용처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과도한 비용 대비 낮은 수익성 때문이다.
수돗물을 활용해 친환경 수소 에너지원을 개발하는 방안은 투자비만 19조원 가량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농업·공업용수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은 생산 단가가 높아 비용 대비 수익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해 담수 추출 후 남는 하루 5만5000t 가량 고농도 염분수를 활용,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용도 논의됐지만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가덕도 해수담수화 시설 추가 설치 등 서부산권 담수화 글로벌 허브도시 육성 사업도 차질을 빚고 있다.
부산시는 총 1조3000억원을 투입, 제2 해수담수화 시설을 지을 계획이지만 기존 해수담수화 시설 활용방안을 찾지 못할 경우 추가 시설 설치가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