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제조업 체감 경기 금융위기 이후 최저

2019-01-29 13:40
  • 글자크기 설정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 넉달 연속 하락

SBHI(Small Business Health Index, 중소기업건강도지수)는 응답내용을 5점 척도로 세분화하고 각 빈도에 가중치를 곱해 산출한 지수로, 100 이상이면 긍정적으로 응답한 업체가 그렇지 않을 것으로 보는 업체보다 더 많음을 나타내며,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뜻한다.
[자료=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경기 심리지수가 넉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제조업 체감경기는 금융위기 여파로 힘들었던 2009년 3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29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15∼23일 중소기업 3150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2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보면, 업황전망 중소기업 건강도지수(SBHI)는 전년도 같은 달 대비 5.3포인트 하락한 76.3으로 나타났다. 전산업과 비제조업은 2015년 2월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래 가장 낮았고, 제조업은 금융위기 때인 2009년 3월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 부진과 인건비 상승, 근로시간 단축 등의 요인이 겹쳐 중소기업의 경제 심리가 극도로 위축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월 제조업의 경기 전망은 전달보다 6.2포인트 하락한 75.1, 비제조업은 3.7포인트 하락한 77.0이었다. 특히 건설업은 4.5포인트, 서비스업은 3.6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에서는 전기장비(77.8→83.3), 종이·종이제품(74.1→76.6) 등 2개 업종에서 상승한 반면 가죽가방·신발(75.1→54.7), 인쇄·기록매체복제업(87.4→73.8), 섬유제품(75.7→62.6) 등 19개 업종에서 하락했다.

비제조업에서는 숙박·음식점업(73.5→67.3)과 운수업(79.6→73.6) 등 4개 업종이 하락했고, 예술·스포츠·여가관련서비스업(74.3→85.8),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86.0→92.0) 등 4개 업종이 상승했다.

응답 기업들은 인건비 상승(62.5%·복수응답)을 경영상 애로 중 가장 큰 요인으로 꼽았다. 이어 내수부진(62.4%), 업체 간 과당경쟁(37.7%), 원자재 가격상승(22.2%) 순으로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