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미 프로젝트슬립 대표 "우리 모두는 더 좋은 잠을 잘 권리가 있다"

2019-01-19 16:05
  • 글자크기 설정

서울시·공유주택사업자들과 협업으로 탄생한 '프로젝트슬립'

'좋은 잠' 위한 여정 지속될 것

이미지 확대
이상미 프로젝트슬립 대표. [사진=프로젝트슬립 제공]

이상미 프로젝트슬립 대표. [사진=프로젝트슬립 제공]


"우리 모두는 오늘, 더 좋은 잠을 잘 권리가 있어요."

숙면이 우리 모두의 기본적인 권리이며, 누구나 오늘을 휴식하고 내일을 꿈꿀 권리가 있다고 이야기하는 브랜드가 있다. 바로 이상미 대표가 이끄는 '프로젝트슬립'이다.
프로젝트슬립은 국내 최초로 하이브리드 폼 매트리스를 개발한 '라쏨'이 서울시와 대기업, 공유주택사업자들과 협업해 탄생시킨 프로젝트 브랜드이다. 주거의 질을 혁신하자는 뜻에 공감하는 정부기관뿐만 아니라 사회주택, 청년주택 사업자 등 사회적 주체들이 힘을 합쳤다.

이 대표는 "대한민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수면시간이 최하위이며, 성인의 30%가 수면부족에 시달리고 있다"며 "숙면은 가장 중요한 사회적 이슈"라고 강조했다.

◆ 억대 연봉 뒤로 하고 찾아나선 '좋은 잠'
이 대표는 대원외고·유씨 버클리(UC Berkeley) 대학을 졸업하고 글로벌 컨설팅업체 베인앤컴퍼니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이 대표는 대학 시절 학교 자선경매의 일환으로 수백만원 대를 호가하는 키트사(Keetsa)의 폼 매트리스를 30만원대에 낙찰받아 사용한 적이 있다. 그는 "당시 하이브리드 폼 매트리스를 처음 접했는데 신세계였다"며 "국내에 돌아와 구매를 하려고 해도 비슷한 느낌을 주는 매트리스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베인앤컴퍼니에서 일할 당시, 바쁜 업무 탓에 거의 잠을 자지 못했던 그는 잠깐 자더라도 잘 자고 싶다는 욕구를 강하게 느꼈다. 이에 이 대표는 억대 연봉을 받던 직장을 떠나 '숙면'에 대한 자신의 관심을 라쏨이라는 브랜드를 통해 실현했다.

라쏨에서 국내 최초로 하이브리드 매트리스를 선보였다. 이후 숙면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서울시와 협력해 프로젝트슬립을 개발하게 됐다. 

이 대표는 더 좋은 매트리스를 만들기 위해 고객의 결정요인, 만족 이유, 불만, 문의 등 다양한 관점에서 통합적인 분석을 수치화했다. 약 3000명을 대상으로 매트리스 시장 설문조사를 실시하기도 했다. 또 전 세계에서 잘 나간다는 폼 매트리스는 직접 구매해 모두 잘라봤다. 

사업 초기에는 좋은 매트리스를 찾는 과정에서 해외 브랜드를 들여오는 방안도 고민했다. 하지만 해외 브랜드의 제품 대부분은 한국인의 체형에는 너무 부드러웠고, 비용 부담이 컸다.
 
이미지 확대
프로젝트슬립 매트리스. [사진=프로젝트슬립 제공]

프로젝트슬립 매트리스. [사진=프로젝트슬립 제공]

◆ 합리적 가격에 좋은 매트리스 제공
이 대표는 "서울시, 사회주택 사업자 등의 지원으로 높은 품질의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고객들에게 전달 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정부기관이 '수면 기본권'이라는 상위 가치로 가이드를 해주고, 중간 과정에서 사회주택 사업자 등이 시제품과 개발을 도와주는 식이다. 현재까지 공유 주택 거주자 약 250명에게 700일에 걸쳐 10가지 버전의 실사용자 샘플 테스트를 거쳤다. 

프로젝트슬립 매트리스의 가장 큰 특징은 한쪽은 단단하고 반대쪽은 부드러워 원하는 정도에 맞춰 양면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 대표는 "단단함의 정도는 체격에 따라 다르게 느껴질 수 있어 절대적인 비교가 어렵다"며 "때문에 양면을 고안했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구매한 1000명 대상으로 진행했던 설문 조사 결과 97%의 고객이 프로젝트슬립 매트리스에 매우 만족하며, 85%의 고객이 지인에게 추천해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며 "고객들의 만족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향후 매트리스 외에도 빛·소음·온도 등 전체적인 수면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제품을 순차적으로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이 대표는 "집에서 가장 많이 시간을 보내는 침실에서, 더 많은 사람이 더 편한 잠을 자게 됐으면 좋겠다"며 "10년 전 고민에 빠졌던 나처럼, 좋은 매트리스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거나 교체 자체가 너무 부담 돼 불편한 오래된 매트리스에 정착되는 경우가 없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