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여성기업 육성 종합계획(2019~2023)의 성공적인 수립을 위해, 여성기업 활동의 지원을 통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17일 5년 단위의 종합계획의 수립에 앞서 여성기업 실태를 조사하고, 육성 및 지원 제도를 검토해 정책 방안을 제시한 ‘경기도 여성기업 지원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여성기업인은 전반적으로 영세한 고용규모, 소규모 매출, 업종의 편중성, 일과 가정의 양립 부담 등의 특성을 보이며 정책적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여성기업의 85.1%는 1~4인으로 구성된 영세업체였으며, 주로 도매 및 소매업(26.9%), 숙박 및 음식점업(29.4%)에 종사하는 등 업종이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
여성기업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경영상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각종 지원정책을 경험하지 못한 비율이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응답한 89%는 정부가 시행하는 지원정책을 전혀 경험하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경기연 유영성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경우 여성기업의 육성은 정부의 적극적 대응체계 하에 실시되고 있다”며 “여성기업의 육성을 위한 법적 근거와 제도적 장치가 오래 전부터 마련돼 있었으며, 경기도의 경우 5개년 단위의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해 2014년부터 매년 각종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원정책 관련 정보의 부족 등으로 여성기업 지원제도의 경험 비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향후 도가 수립하는 여성기업 육성 5개년 계획에서는 많은 사업이 시책화됨으로써 여성기업 지원 정책이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여성기업 지원방안으로 △실효성 있는 밀착형 여성기업 지원 추진 △여성기업의 자생력 강화 및 기술창업 육성 △지역 일자리 창출형 여성기업 확대를 제시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지원 전략으로 △여성기업 지원 인프라 확충 △여성기업 역량 강화 △판로지원 및 경쟁력 강화 등과 각 전략에 수반되는 14개의 세부 추진정책과제 등을 제안했다.
유 선임연구위원은 “여성기업 지원 인프라 확충을 통해 토대를 만들고, 여성기업의 역량을 강화해 양질의 기업으로 성장시켜야 한다”며 “그런 여성기업이 질적·양적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실효성, 자생력, 전문성 기반 창업, 일자리 창출 등의 정책 키워드를 5개년 계획 수립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