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영상톡]"조각의 성지 된 청주서 한국 미술관 미래를 만나다"..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2019-01-11 19:16
  • 글자크기 설정

-2018년 12월 27일 개관 국내 최초 '개방 수장고' 운영

-근대, 근현대, 현대조각 총집합..조각의 성지로 우뚝

조각 작품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제 충청북도 청주를 주목해야 한다.
근현대부터 현대까지 한국 조각사에서 길이 빛나는 작품들이 마치 창고형 매장의 물품처럼 진열된 곳이 문을 열었기 때문이다. 조각의 성지(聖地) 탄생이며 한국 미술관 역사의 새 장이 열린 것이다. 

한국에 없던 새로운 미술관이 생겼다. 수장과 전시가 결합한 '수장형 미술관'이다.
기존 미술관은 전시 공간과 수장 공간이 따로 있었다. 이로 인해 그 미술관의 특정 소장품을 보고 싶어도 관련 기획 전시가 없거나, 상설 전시에서 빠져 있으면 언제 볼 수 있을지 기약할 수 없었다. 하지만 모든 소장품을 언제든지 볼 수 있는 특별한 미술관 시대가 열렸다.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1층 개방 수장고에서 안성금 작가의 '부처의 소리' 작품이 특수 팔레트 위에 올려져 있다.]


서울, 덕수궁, 과천에 이어 국내 네 번째 국립현대미술관이 탄생했다고 해서 지난달 26일 찾아간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은 아직 공사가 한창이었다.

충북 청주시 청원구에 문을 연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은 청주시와 같이 한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박위진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직무대리 기획운영단장이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을 주축으로 한 조감도를 설명하고 있다.]


박위진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직무대리 기획운영단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청주관 옆에 공예비엔날레 공사가 진행 중에 있고 복합공영주차장, 잔디 광장이 조성된다. 여기에 국립현대미술관 조각공원도 추후에 조성될 예정이다" 며 "2019년 하반기에는 이런 것이 모두 갖춰줘서 이 지역이 아름다운 문화 중심지역이 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초제조창을 재활용한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은 2012년 KDI 연구 용역 타당성 조사를 거쳐 2017년 4월에 착공해서 2018년 12월 27일 개관하게 됐다.

[지난달 27일 문을 연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건물 외벽]


청주관은 공사비 총 577억원을 투입하여 전체면적 19,855㎡, 지상 5층 규모로 건립되었으며, 수장공간 10개, 보존과학공간 15개, 기획전시실 1개, 교육공간 2개, 라키비움 및 관람객 편의시설 등을 갖춘 복합 문화공간이다.

청주관이 다른 현대미술관과 가장 차별화된 것은 '열린 미술관'과 '보이는 미술관'을 지향한다는 것이다.

'열린 미술관'을 가장 잘 보여주는 프로그램으로는 '개방 수장고'와 '특별 수장고' 운영이다.

▶한국 조각의 성지가 된 1층 '개방 수장고'

건물 1층 '개방 수장고'는 약 1183㎡로 관람객이 바깥에서 안을 들여다볼 수 있고, 내부에 들어가서 직접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수장고이자 전시관이다.

1층 개방 수장고에는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170여점의 조각작품이 수장 전시되어 있다. 주로 근현대 조각작품이다.

[박미화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관이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1층 개방 수장고를 설명하고 있다.]


박미화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관은 "개방 수장고는 약 30년 전부터 유럽에서 시작됐다" 며 "국내에서는 여기가 처음이지만 국외에서는 포화상태의 수장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많이 시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개방 수장고에 들어서면 소품 조각상들을 배치한 길이 14m, 높이 4m의 철제 수장대 4대가 보인다. 부피가 큰 대형 조각상들은 1.1m 정방형, 높이13.5cm의 특수 팔레트(좌대)에 놓여 바닥에 배치했다.

박 학예연구관은 "철제 수장대를 따라 걷다 보면 한국의 근현대 조각사를 한눈에 볼 수 있다" 며 "알루미늄으로 만든 특수 팔레트는 작품 제목을 붙일 수 있는 곳이 따로 마련돼 있고 미끄럼 방지 장치도 있다. 또 작품을 들어 올리는 역할까지 할 수 있다. 개방 수장고를 열면서 최초로 만든 좌대와 팔레트를 겸한 장치이다"고 설명했다.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1층 개방 수장고에 설치된 철제 수장대]


전시장 입구에는 안성금 작가의 '부처의 소리' 다섯 작품이 특수 팔레트에 놓여 있다. 또 그 옆에는 청주 출신의 김복진의 미륵불이 있고, 입구에는 강익중의 삼라만상 불상이 있어 서로 연결되는 불상의 잠재적인 의식을 파악할 수 있다.

박 학예연구관은 "개방 수장고는 관람객의 입장에서 다양한 작품을 한꺼번에 볼 수 있고, 미술관의 입장에서는 수장의 형태로 전서를 할 수 있어 여러 가지 면에서 서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침이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 근대 나뭇조각의 대가 윤효증의 '현명', 한국 모더니즘 조각의 선구자 김종영의 '작품 58-8', 송영수의 '생의 형태', 인체조각의 대가 권진규의 '선자', 최초 여류 조각가인 김정숙의 '비상' 등 국내 작가 작품과 토미 크랙 '분비물', 니키 드 생팔 '검은 나나' 등 해외 조각가의 작품도 놓였다.

▶중견 및 신진 작가 작품이 모인 3층 개방 수장고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3층 개방 수장고에 전시된 박현주 작가의 'Nirvana1']


건물 3층에 있는 개방 수장고에는 지난 2005년부터 모아온 미술은행의 중요한 수장품 110여점이 수장·전시된다.
미술은행 작품들은 대부분이 중견 및 신진 작가들의 작품이다.

3층 개방 수장고 중앙에는 빛을 매개로 한 박현주 작가의 'Nirvana1'과 권용래 작가의 'The Eternal Flame-Light'가 설치가 돼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3층 개방 수장고에 전시된 권용래 작가의 'The Eternal Flame-Light']


'Nirvana1'은 금박이 은은하게 반짝거리면서 가운데 층색의 다양한 변화를 보이는 작품이다. 'The Eternal Flame-Light' 역시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든 부품이 작품 전체에 심겨 있어 강가에 비치는 불빛이나 창가에 비친 빛의 방울처럼 아름다운 빛을 발산하고 있다.

'특별 수장고'는 건물 4층 727㎡ 공간에 마련돼있고, 심층적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전문 미술 연구자들에게 열린 수장고이다.
이곳의 작품은 주제별·작가별로 소장 작품을 대량으로 모아 놓고 전문 연구자들에게 공개된다.

▶청주관 대부분이 '보이는 수장고'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곳곳에 설치된 '보이는 수장고']


'보이는 미술관' 프로그램으로는 '보이는 수장고'와 '보이는 보존 과학실'이 있다.

청주관 1·2·3·4층에 있는 보이는 수장고의 면적은 약 4546㎡(약 1377평)로 개방 수장고와 특별 수장고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장고가 보이는 수장고의 개념으로 운영된다.

보이는 수장고는 일반 관람객이 바깥에서 시청을 통하여 수장고 작품의 보관 상태나 미술관 직원들의 수장고 안에서 작업 모습을 직접 볼 수 있게 돼 있다.

[장엽 개관준비단 운영과장(왼쪽)이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에 관해서 설명하고 있다.]


장엽 청주관 개관준비단 운영과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보이는 수장고는 미술관 수장고가 더 이상 비밀의 성역이 아니라 투명하고 공개된 공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며 "국가 자산이자 문화재인 미술품의 보존과 관리에 청주 시민들과 국민들이 참여해 감독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보이는 수장고에는 현재 공간이 많이 비어 있는데, 향후 순차적으로 작품들이 채워질 예정이다.
약 4000여 점의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과 1100여 점의 미술은행 소장품이 청주관으로 이전될 계획이다.

▶회화에 적외선·자외선 쏘이는 '보이는 보존 과학실'

'보이는 보존 과학실' 프로그램은 미술품 보존 분야의 기능을 관람객에게 알리고 이해를 돕기 위해서 미술품 보존 처리 공간을 관람객들이 시청을 통하여 직접 볼 수 있도록 운영된다.

관람객들은 투명한 유리를 통하여 유기분석실, 무기분석실, 유화보존처리실에서 이뤄지는 작업을 직접 볼 수 있다.

[권희홍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가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3층에서 '보이는 보존 과학실'을 설명하고 있다.]


권희홍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는 "전국에 299개의 국·공·사립 미술관들이 있지만 보존에 관한 시설과 인력을 갖춘 곳은 삼성미술관 리움 빼고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며 "유일한 국립기관으로써 보존 처리와 교육을 통해 전국의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3층에 있는 '무기분석실'에서 미술관 직원이 현미경으로 회화 작품을 분석하고 있는 것을 기자들이 투명 유리창을 통해 지켜보고 있다.]


이날 찾은 청주관 3층 보이는 보존 과학실의 유기분석실에서는 연구자가 회화 작품에 자외선 촬영을 하고 있었다. 자외선 촬영을 통해서 작가들의 밑그림을 확인할 수 있고 적외선 촬영을 통해서는 작가가 사용한 물감을 알 수 있다고 권 학예연구사는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