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한국감정원 '2019년 주택시장 전망'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거래유형별 주택가격 전망 그래프. [자료=한국감정원]](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07/20190107152612970440.jpg)
한국감정원 '2019년 주택시장 전망'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거래유형별 주택가격 전망 그래프. [자료=한국감정원]
전국 공인중개사들 중 절반가량은 올해 매매시장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감정원은 7일 전국 6000여곳 협력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주택시장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가격에 대한 전망과 관련해 매매는 하락(51%), 전·월세는 보합(전세 52.1%, 월세 60%)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수도권은 매매·전세·월세 모두 보합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지방은 매매는 하락(56%), 전·월세는 보합(전세 52.3%, 월세 56.6%)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매매시장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가격 전망은 하락 응답(51%)이 우세했다. 지역별로 수도권(48.7%)과 서울(49.7%)은 보합 응답이 우세했으나, 지방(56%)은 하락 응답이 우세했다.
하락 전망 이유는 △대출규제 강화(LTV, 신DTI, DSR 등)로 차입여력 축소 43.5% △공급물량 증가 26.9% △지역 기반산업 및 경기 침체 10.5% △보유세 개편, 다주택자 규제 등 정부 규제 9.6% 순이었다.
상승 전망 이유는 △개발호재(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교통망 확충, 산업단지 조성 등) 35.2% △신축 및 신규분양시장 호조 영향으로 인근 동반상승 18.2% △대체투자처 부재로 인한 풍부한 부동자금 지속 유입 13.6% 순으로 나타났다.
전세시장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가격 전망은 보합 응답(52.1%)이 우세한 가운데, 지역별로 수도권(52%), 서울(54.5%), 지방(52.3%) 모두 보합 응답 비율이 과반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락 전망 이유는 △매매가격 하락 영향으로 전세가격 동반하락 48.6% △전세 공급물량 증가(갭투자 또는 신규공급물량의 전세공급) 43.5%가 대다수를 차지했다.
또 상승 전망 이유는 △매매가격 하락 우려 및 관망세로 전세 전환수요 증가 34.7% △전세공급(매물) 부족 24% △매매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세가격 동반상승 17.3% 순이었다.
특히 서울 지역은 매매가격(보합 49.7%, 하락 45.2%)과 전세가격(보합 54.5%, 하락 39.1%) 모두 대다수 보합 내지 하락 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락 전망 주요이유와 관련해 매매가격은 대출규제 강화로 인한 차입여력 축소(61.6%), 전세가격은 전세 공급물량 증가(46.3%)로 응답했다.
월세시장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가격 전망은 보합 응답(60%)이 우세한 가운데, 지역별로 수도권(63.1%), 서울(64.5%), 지방(56.6%) 모두 보합 응답이 우세했다.
하락 전망 이유는 △전세공급물량 증가 및 전세가격 안정으로 월세수요 감소 36.7% △신규주택의 월세공급물량 증가 29.7% △임대인의 월세전환으로 월세공급물량 증가 21.7% 순으로 나타났다.
상승 전망 이유는 △전세가격 상승 부담 등으로 월세전환 증가 29.8% △전세자금대출 금리 상승에 따른 반사효과로 월세수요 증가 24.6% △기타(집주인들의 세금 전가, 금리상승 영향 등) 17.5% 등으로 나타났다.
감정원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국내·외 경기를 비롯해 세금, 대출, 재건축 등에 대한 정부 정책과 신규 공급물량, 금리 등 다양한 요인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됨에 따라 올해 주택시장 전망에 대한 일선 공인중개사들 의견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