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12/30/20181230171807238372.jpg)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원리금 상환액이 처분가능소득보다 3배 빠른 속도로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의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원리금 상환액은 1637만원으로 1년 전보다 8.1% 늘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은 31.1%로 1년 전(29.5%)보다 0.6%포인트 상승했다. 빚이 있는 가구가 실제로 쓸 수 있는 돈의 3분의 1을 대출금을 갚는 데 쓰고 있는 셈이다.
정부의 대출 규제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전년 대비 둔화됐지만 가계의 빚 부담은 더 커졌다.
한은은 2019년 통화신용정책 운용방향에서 "가계부채가 누증된 가운데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높아 대출 금리가 상승할 경우 가계의 이자 상환 부담이 늘어날 것"이라며 "변동금리 비중이 높은 비은행 대출, 신용대출을 상대적으로 많이 보유한 취약차주의 채무 상환 어려움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앞으로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점이다. 지난달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1년 만에 인상된 데다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으로 시장금리가 뛸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되면 가계의 원리금 상환 부담도 함께 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