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12/11/20181211160052132167.jpg)
[사진=아이클릭아트]
11일 업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제약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에 따라 매년 3000억~4000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제약산업에 투입하고 있다.
올해 지원금은 4324억원으로, 지난해 3789억원보다 535억원이 증가됐다. 이 중 R&D에 3839억원을 투자하고, 인력양성에 250억원, 수출지원 133억원, 제도개선 102억원을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신약개발을 주도하는 다수 제약‧바이오 기업 등은 이 같은 정부 지원이 사실상 부족하다고 입을 모은다. 신약개발까지는 최소 1조원이상, 평균 2조7000억원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R&D지원금은 다수 연구와 지원 기능 강화, 공익적 투자, 각종 인프라 등 전체를 아우르고 있어 실제로 기업이 원하는 임상지원과 같은 직접적인 지원은 부족하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여재천 전무는 “제약‧바이오 기업이 30여년에 걸쳐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을 만들고 이것으로 성과를 보이고 있는데, 어떻게 보면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할 때 그 시기를 놓치고 있다”며 “신약개발로 인한 기술수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최종적으로 신약을 개발하고,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같은 과정에서 복지부 등 정부 지원도 큰 역할을 하고 있지만, 정부가 실제로 기업의 수요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가 하는 부분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신약개발 중인 기업이 1상 임상시험 후 2상 임상시험으로 넘어갈 때, 자금조달 등 문제로 인해 시기가 지체되는 경우 경쟁력 차원에서 큰 손해가 발생한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여 전무는 “최근 신약개발 중인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이은 기술수출 소식이 들리는데, 기술수출료 성과에다가 리스크를 감안해 수천억원을 더 투자해야 임상시험을 할 수 있다”며 “이 과정에서 임상시험 등에 대한 실질적 지원이 있어야 글로벌 기업으로 한발 더 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때문에 복지부뿐 아니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가 함께 임상시험 과정이 신약개발 완성으로 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복지부 예산만으로는 임상지원 등에 한계가 있으며, 부처 간 역할분담에서 벗어나야 제약산업 육성이 발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외국에서는 과학기술부처에서 제약사 신약개발에 도움을 주고 있다”며 “과기부에서는 생명과학육성법에 따라, 산업부에서는 중소‧벤처기업 등 기업지원 차원에서라도 제약산업 신약개발 핵심에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