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12/10/20181210215337102677.jpg)
[사진=세종시 제공]
도시개발 분야 교수와 기관, 언론인 등이 참여한 가운데 행복도시 세종의 지난 10년을 점검하고, 향후 세종시의 역할과 발전을 위한 대비 방안을 논의키 위해 마련된 것.
이춘희 세종시장은 "신행정수도건설추진단이 결성되고 지금까지 추진해 왔던 일들이 눈앞의 현실로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며 "특히 내년도 정부예산에 설계비 10억원이 반영된 국회 세종의사당은 이제 기정사실이자 균형발전을 향한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 됐다."고 말했다.
이어 "여기서 멈추지 않고 더 적극적으로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며 "주변 지역과의 상생을 넘어서는 협치 체계를 구축해 균형발전 선도도시로서 역할과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 교수는 "광역교통체계와 행정구역을 초월한 산업클러스터 등의 분야에서 인근 도시와 광역 협치 체계를 구축할 때 세종시와 주변지역의 성장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또 유원대 백기영 교수가 행복도시 미래비전과 발전방안에 대해, 대전·세종연구원 김흥주 박사가 세종시 자치분권 실현방안을 각각 발제했다.
한편, 이번 세미나는 국토연구원과 대전·세종연구원, 중도일보가 공동 주관하고 세종특별자치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한국토지주택공사 후원으로 개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