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원전의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기존 원자력 분야 혁신역량의 활용을 확대하는 '미래원자력 안전역량 강화방안'을 수립·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방안에는 △안전 극대화 △역량 활용 △혁신 촉진의 3대 전략을 중심으로 지속적 역량 혁신을 위한 기반구축을 추진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향후 7년간 약67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첨단 IT기술을 활용해 원전을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추고, 국내 우수한 평가·검증 기술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등 신뢰할 수 있는 안전성 평가역량도 구축한다. 특히 최신 계산과학 및 슈퍼컴퓨팅 기술을 활용, 대규모 실험시설 없이도 원전 안전성을 정밀하게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가상원자로 기술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무인화, 지능화 등 첨단기술 분야별로 역량 있는 국내·외 연구기관과 상시적으로 교류·협력하고, 현장의 문제해결 수요(Bottom-Up)를 종합한 '원자력 안전혁신 프로젝트'도 발굴 추진한다. 이를 위한 융합 허브로 '원자력 첨단융합 연구실(가칭)'을 설치하고 2개 분야의 프로젝트를 시범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원전사고 원천방지 등 원자력 안전 분야의 국제 공동연구와 분야 간 융합연구를 활성화하고, 연구 거점을 마련하는 등 개방적인 원자력기술 협력 생태계를 구축한다. 국내의 원자력 안전 검증 시험시설·장비도 적극 개방해 국제공동연구 등에 활용을 확대하고, 향후 원자력 안전연구를 선도할 수 있도록 첨단 장비, 시설의 고도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개방적 연구협력 생태계 및 융합연구 체계와 안전기술의 현장활용 강화를 위한 소통체계를 구축하는 등 내년까지 이번 방안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