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11/29/20181129133025786647.jpg)
새해 전국에 37만 가구 규모 입주물량이 예정된 가운데 서울은 4만3255가구가 집들이를 진행한다. [사진= 아주경제DB]
새해 전국에 37만 가구 규모 입주물량이 예정돼 전셋값 안정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29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새해 전국에서 총 37만1594가구(임대포함, 오피스텔 제외)가 입주할 예정이다. 이는 입주물량이 기록적으로 쏟아진 올해(45만6681가구)보다 18.6% 감소한 수준이다. 다만 최근 3년간 평균을 보면 연평균 40만 가구를 넘어서는 만큼 새해에도 적잖은 물량이 집들이를 하는 셈이다.
입주물량이 1만 가구 이상 되는 시·군·구는 총 9곳이다. 특히 올해 3만6000가구가 입주한 경기 화성시는 새해에도 시·군·구 가운데 가장 많은 2만1212가구 입주가 예정돼 있다. 경기 평택시와 시흥시 등도 입주물량이 많다. 비수도권 지역 가운데에는 경남 김해시가 1만2204가구로 입주물량이 가장 많다.
수도권에서는 경기도와 서울이 각각 13만5511가구, 4만3255가구가 입주한다. 강남4구는 올해(1만5712가구)보다 소폭 증가한 1만5912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하지만 올해 12월 입주 예정이던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9510가구)의 입주가 내년으로 연기될 경우 강남4구 입주물량은 2만5422가구로 늘어난다.
강동구는 올해 100가구가 채 입주하지 않았지만 새해 1만가구가 넘는 물량이 대거 입주해 쏟아지는 전세물건으로 인해 일정 기간 역전세난도 우려되고 있다. 이외에 수도권에서는 새해에도 입주물량이 쏟아지는 화성시와 시흥시 등의 전세시장은 하향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부산도 올해와 비슷한 수준인 2만4000여가구가 입주예정이어서 해를 넘겨도 전세시장은 약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올해 4만 가구가 입주했던 경남은 올해보다 소폭 줄어든 3만3316가구가 새해 입주를 진행한다. 경북과 충북도 각각 1만6000가구, 1만2000가구 입주가 예정됐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지방권역은 신규 전세 수요가 유입되지 않아 전세시장이 위축돼 있다"면서 "여기에 분양시장 호조로 공급됐던 물량들의 입주가 이어지고 있어 회복이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