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 대차리 고분군서 신라계·가야계 석곽묘 발견

2018-11-27 09:16
  • 글자크기 설정

전북 최대 규모 신라 토기 확인

[문화재청]

전북 최대 규모 신라 가야계 석곽묘와 토기가 발견됐다.

문화재청은 무주군청과 군산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에서 조사 중인 ‘무주 대차리 고분군’에서 신라·가야계 석곽묘와 함께 전북지역에서 현재까지 발견된 최대 수량의 신라 토기가 확인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발굴조사는 전북지역 가야문화유산 연구 복원사업의 하나로 총 11기의 석곽묘가 조사됐다. 문화재청은 도굴 등의 훼손으로 잔존상태가 양호하지는 않지만, 축조방법과 구조 등을 파악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석곽묘는 조성 방법에 따라 2가지 유형으로 2기는 강돌(천석)로 벽체가 축조되고 바닥에 시상대가 없는 반면, 나머지 9기는 깬돌(할석)로 벽체가 조성된 가운데 바닥에 잔돌(소석)로 무덤 안에 시신을 안치하기 위해 바닥에 마련한 대 시설인 시상대를 깔았다. 이러한 조성 방법의 차이는 석곽묘를 조성한 집단이 서로 달랐음을 의미한다.

벽체가 강돌로 축조되고 시상대가 없는 석곽묘는 장수지역의 가야계 석곽묘와 유사하다. 깬돌로 축조되고 시상대가 있는 석곽묘는 옥천 금구리, 상주 헌신동, 상주 병성동, 남원 봉대리 등에서 확인돼 신라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석곽묘에서는 굽달린목긴항아리(대부장경호), 목짧은항아리(단경호), 뚜껑(개), 굽달린접시(고배) 등의 신라 토기와 빼곡한 물결무늬(밀집파상문)가 장식된 가야토기, 쇠낫(철겸), 쇠손칼(철도자), 화살촉(철촉), 금동귀걸이 등 40점 이상의 유물이 출토됐다. 신라 토기가 대부분으로 현재까지 전북 지역에서 조사된 유적 중 가장 많은 수량의 신라 토기다.

석곽묘의 구조와 유물로 볼 때, 무주 대차리 고분군은 6세기 초 전후에 조성됐던 것으로 추정된다. 발굴조사 기관은 이 시기 전북지역에서 신라의 진출 과정과 가야와 신라의 역학관계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