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11/15/20181115190835894725.jpg)
GS건설이 진행 중인 싱가포르 T301 프로젝트 현장 전경. [사진=GS건설]
국토교통부는 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중견기업을 중심으로 해외 인프라 시장 진출 지원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15일 밝혔다. 이를 통해 일자리 창출과 동반 성장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지난 9월부터 해외 진출 자금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해외 시장 개척자금' 지원을 확대했다. 또 중소기업이 수주한 우수 사업에 대해 사업성평가 수수료도 지원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 역량 강화를 위해 신규 채용자에 대한 해외현장훈련 지원(OJT) 비용도 지난달부터 상향했다. 지원 대상 및 기간 또한 확대했다.
내년부터는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해외 공동거점(2곳)을 운영해 해외 정보 획득 및 현지 수주 활동 지원도 제고할 예정이다. 중소기업 수주지원센터를 통한 전문가 파견 컨설팅 등도 강화한다.
이와 함께 지난 6월 출범한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 지원공사(KIND)'를 중심으로 투자 개발 사업의 전 단계를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정상외교, 장관 방문 등 고위급 외교와 국제금융기관과의 협업 등이 주효할 전망이다. 특히 신남방지역(아세안·인도 등)과 북방지역(CIS·러시아·동유럽·몽골 등) 내 인프라 개발 사업에 금융을 지원하는 '글로벌 인프라 펀드'를 2022년까지 각각 1억 달러 규모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한-아세안 미래공동체 구상' 구현을 위한 교통·에너지·수자원·스마트 인프라 등 4대 중점 협력 분야와 극동아시아·유라시아 개발 사업에 우선 투자될 예정이다.
아울러 건설기술, 유지관리 등 공공의 기술 개발이 필요한 분야를 중심으로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을 통해 핵심기술을 보급한다.
시중 유동자금은 영세한 중소건설 신기술 개발업체가 활용할 수 있도록 민간투자 유도하고, 2020년에는 모태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스마트 건설 기술을 적용하는 공사의 경우 턴키 발주가 가능토록 입찰 제도도 손본다.
국토부는 건설산업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혁신산업이자 함께 성장하는 상생산업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는 건설정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정경훈 국토부 건설정책국장은 "'건설현장은 다양한 공종 별로 인력·설비·자재가 필요한 만큼 해외 인프라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중소·중견기업과의 협업이 필수적이다"며 "연내 해외 인프라·도시개발 지원공사(KIND)의 시범투자 대상 사업을 확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