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11/13/20181113144438957160.jpg)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18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쌀 생산량은 386만8000톤으로 지난해(397만2000톤)보다 2.6%(10만4000톤) 감소했다. 전국적으로 냉해 피해가 컸던 1980년 355만톤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쌀 생산량은 3년째 감소세다. [사진=연합뉴스]
올해 쌀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2.6% 감소해 38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재배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한 데다 여름철 폭염에 따른 작황 부진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18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쌀 생산량은 386만8000톤으로 지난해(397만2000톤)보다 2.6%(10만4000톤) 감소했다. 전국적으로 냉해 피해가 컸던 1980년 355만톤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쌀 생산량은 3년째 감소세다.
쌀 생산량 감소 등으로 쌀값 오름세는 멈추지 않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쌀 20kg의 평균 도매가격은 상품 기준 12일 4만9660원으로, 1년 전(3만8500원)에 비해 29% 상승했다.
시·도별 생산량을 보면 전남이 76만6000톤으로 가장 많았고 충남(73만2000톤), 전북(62만7000톤), 경북(53만5000톤) 등이 뒤를 이었다. 10아르(a)당 예상 생산량은 524kg으로 지난해(527kg)보다 0.4%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 여름철 폭염과 비가 자주 이어졌고, 9월에 일조시간이 줄어 생산량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