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11/07/20181107133452415013.jpg)
[사진=연합뉴스]
BMW 차량의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인 민관합동조사단은 사고 원인으로 EGR 밸브를 지목했다. 이는 그간 화재의 원인으로 EGR 바이 패스 문제를 지적해온 BMW 측의 주장과 상반돼 논란이 예상된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BMW 화재 관련 중간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BMW 화재는 △EGR(엔진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쿨러(냉각기)에 누수가 발생한 생태 △EGR 밸브가 일부 열림으로 고착된 상태에서 고속주행 △배출가스 후처리시스템(DPF/LNT) 재생의 세 조건이 충족되면 발생했다.
이 조건에서 EGR 쿨러 누수로 쌓인 침전물이 EGR 밸브를 통해 들어온 고온의 배기가스와 만나 불티가 발생하고, 이 불티가 엔진룸 흡기시스템(흡기매니폴드)에 붙어 불꽃이 확산한다는 게 조사단의 설명이다.
이어 불꽃이 고속주행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만나 커지면 흡기기관에 구멍(천공)을 내고 점차 확산해 엔진룸으로 옮겨가며 불을 확진한다는 것이다.
앞서 BMW 측은 지난 8월 기자간담회를 통해 화재 발생 조건으로 EGR 쿨러 누수와 누적 주행거리가 높은 차량, 지속적인 고속주행과 함께 'EGR 바이패스 밸브 열림'을 조건으로 꼽은 바 있다.
조사단 관계자는 “EGR 바이패스 밸브 열림은 현재까지 이번 화재 원인과 전혀 상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고, BMW가 지목하지 않았던 EGR 밸브가 화재와 관련이 있었다”고 밝혔다.
조사단은 이번 결과와 함께 BMW 측이 주장한 발화 원인 외에 EGR 밸브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문제 등 다른 원인이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조사를 확대할 계획이다.
최종 조사결과 발표는 다음달 예정된 가운데 조사단은 추가 조치가 필요한 경우 관련 조치를 국토교통부에 건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