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국명을 새로 붙인 대상은 한반도 고유종 128종, 국제적 멸종위기종 1223종, 위해우려종 127종, 금지병해충 59종, 관리병해충 1478종, 국가생물종목록 411종 등이다.
이는 지난해 처음 시작한 ‘국가 생물종 국·영명 부여 사업’에 따른 것으로, 우리나라 자생생물 4만9027종 가운데 약 27%인 1만3138종이 국명이 없는 상태다.
새로 우리말 이름을 얻은 생물 중에는 한국 고유종과 국제적 멸종위기종에 속하는 큰우리맵시벌, 한국납작먹좀벌, 멸치고래, 큰지느러미흉상어, 큰입술잉어 등이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생물종 생태적 습성, 형태, 서식지 등 정보를 토대로 이름을 지었다.
포경업자 ‘요한 브라이드’ 이름을 따라 지어진 기존 ‘브라이드고래’는 주요 먹이인 멸치와 함께 이동하는 생태 특성을 고려해 ‘멸치고래’라고 이름 지었다.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가 긴 기존 장완흉상어는 한자어 ‘장완(長腕)’을 풀이해 ‘큰지느러미흉상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라틴어 학명 발음에 따라 적은 알로바테스 페모라리스(Allobates femorali)는 ‘넓적다리독개구리’로, 영명을 발음대로 표기한 로후(Rohu)는 ‘큰입술잉어’로 국명을 고쳐 이름만 듣고도 형태나 종류를 짐작할 수 있도록 했다.
이밖에 긴턱하늘소, 넓은잎해란초 등 우리말 이름이 없던 관리병해충, 금지병해충 1537종에도 새롭게 이름이 붙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앞으로도 각계 생물분류 전문가들과 함께 생물종 특징이 잘 드러나도록 생물명의 초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국어 및 영어 전문가 교차 검수를 통해 바르고 쓰기 쉬운 국명·영명을 제시할 예정이다.
국명이 없는 생태계 위해우려종과 앞으로 국내에 들어올 가능성이 있는 유입주의종에 대해서도 국명을 부여하고, 생물종 명명에 도움이 필요한 다른 기관과도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필요한 생물 이름을 부여할 계획이다.
이병윤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새로 붙여진 이름을 통해 생물자원의 관리에 도움이 됨은 물론, 사회적 관심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국민 의견을 수렴해 외래어, 비속어, 잘못 유래된 이름이 붙은 생물에 대해 지속적으로 그 이름을 정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