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이를 통해 미세먼지, 폭염 등 도시 미기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건물로 단절된 녹지축을 연결하고, 환경교육의 장소로 이용할 방침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11/06/20181106093312183880.jpg)
위치도[사진=인천시]
이 사업은 각종 인공구조물로 단절된 도심지역 중 생태계 징검다리 역할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적합한 공간으로 문화예술회관 옥상부가 선정됨에 따라 환경부 국비를 포함 4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연내 마무리 된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11/06/20181106093359639310.jpg)
조성계획[사진=인천시]
안상윤 인천대공원사업소장은 “사업이 연말에 완료되면 콘크리트 건물 옥상이 휴식과 먹이를 위해 다양한 곤충과 새들이 찾아오는 생태공간으로 탈바꿈됨에 따라 도시 생태계의 다양성과 건강성이 증진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작지만 이 사업을 계기로 민관 모든 기관에서 도심 소생태계 조성사업을 활성화하여 인천시가 생물과 인간이 공존하는 친환경 생태도시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