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10/31/20181031105002993871.jpg)
15개 시ㆍ도지사, 판문점 선언 국회 비준 촉구(서울=연합뉴스) 김현태 기자 = 31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왼쪽부터 최문순 강원도지사(왼쪽부터), 박원순 서울시장, 박남춘 인천시장이 '판문점 선언 국회 비준동의와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 협력 활성화 촉구를 위한 공동성명서'를 발표 후 피켓을 들고 비준을 촉구하고 있다. 이번 공동성명서에는 17개 시ㆍ도 중 대구·경북을 제외한 15개 시ㆍ도가 함께했다. 2018.10.31 mtkht@yna.co.kr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소속 광역단체장 14명과 무소속 원희룡 제주지사는 31일 4·27 판문점 선언의 국회 비준 동의와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을 위한 입법을 촉구했다.
박원순 서울시장, 박남춘 인천시장, 최문순 강원지사 등 민주당 소속 시도지사는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는 4·27 판문점 선언이 한반도 평화와 남북 공동번영에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을 인식하고 (국회가) 비준 동의에 나서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들 외에도 11명의 민주당 소속 시도지사와 원 지사는 기자회견에는 참석하지 않았지만 성명에 이름을 올렸다.
다만, 자유한국당 소속의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지사는 성명 제안에 동의하지 않았다. 원 지사도 성명 발표 직전 동참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국회와 정부는 지방자치단체도 남북교류협력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남북교류협력법’을 개정할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다각적인 남북교류협력을 활성화해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하고 국회와 정부에 이같이 요청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성명을 발표한 취지에 대해 “당초 접경지역인 인천·경기·강원에서 판문점선언 국회 비준동의를 촉구하자는 성명 제안이 있었고, 시도지사의 의사를 물어 성명을 내게 됐다”고 설명했다.
박 시장은 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불참한 시도지사들과 관련해 “대구든 경북이든 남북협력사업을 함께 추진해야 하기 때문에 성명서에 이름을 올리지는 못했더라도 남북협력의 기본 원칙에는 동의하고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접경지역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기자회견에 불참한 것에 대해선 “시간 때문에 오지 못했다”고 답했다.
이어 “어제 전국시도지사협의회 차원에서 남북교류협력특별위원회를 만들고 시도별 중복 사업을 조정하기로 했다”면서 “이것은 여야가 따로 없는 문제”라고 덧붙였다.
한편, 광역단체장들은 문희상 국회의장과 각 당 원내대표에게도 성명을 발송했다.
박원순 서울시장, 박남춘 인천시장, 최문순 강원지사 등 민주당 소속 시도지사는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는 4·27 판문점 선언이 한반도 평화와 남북 공동번영에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을 인식하고 (국회가) 비준 동의에 나서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들 외에도 11명의 민주당 소속 시도지사와 원 지사는 기자회견에는 참석하지 않았지만 성명에 이름을 올렸다.
다만, 자유한국당 소속의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지사는 성명 제안에 동의하지 않았다. 원 지사도 성명 발표 직전 동참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면서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다각적인 남북교류협력을 활성화해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하고 국회와 정부에 이같이 요청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성명을 발표한 취지에 대해 “당초 접경지역인 인천·경기·강원에서 판문점선언 국회 비준동의를 촉구하자는 성명 제안이 있었고, 시도지사의 의사를 물어 성명을 내게 됐다”고 설명했다.
박 시장은 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불참한 시도지사들과 관련해 “대구든 경북이든 남북협력사업을 함께 추진해야 하기 때문에 성명서에 이름을 올리지는 못했더라도 남북협력의 기본 원칙에는 동의하고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접경지역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기자회견에 불참한 것에 대해선 “시간 때문에 오지 못했다”고 답했다.
이어 “어제 전국시도지사협의회 차원에서 남북교류협력특별위원회를 만들고 시도별 중복 사업을 조정하기로 했다”면서 “이것은 여야가 따로 없는 문제”라고 덧붙였다.
한편, 광역단체장들은 문희상 국회의장과 각 당 원내대표에게도 성명을 발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