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10/30/20181030094645373387.jpg)
최근 부산 지역 부동산 허위 매물 건수가 급증하고 있다. 부산 남구와 사상구 지역 공인중개사 10명 중 5명은 허위매물을 올리다 적발돼 직방으로부터 페널티를 받았다. [사진=아이클릭아트]
부산 지역 공인중개사 10명 중 5명이 '직방'으로부터 페널티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존재하지 않는 매물을 광고하거나 매물 위치를 허위로 등록하는 수법을 쓰다 적발됐다.
부동산정보업체 직방은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부산 수영구·연제구·남구·사상구·진구와 서울 관악구를 중심으로 ‘허위매물 아웃 프로젝트’를 진행한 결과를 밝혔다.
우선, 지난달 부산 남구와 사상구 지역 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허위매물을 조사한 결과, 직방에 가입된 공인중개사 중 절반에 가까운 47%가 허위매물 광고로 페널티를 받았다. 지난 7월 부산 수영구와 연제구 지역에서 경고 조치를 받은 공인중개사는 32%였다. 지난 8월 부산 진구와 서울 관악구 지역 조사에서는 두 지역 평균 12%가 페널티를 받았다.
이들 지역은 실제 존재하지 않는 매물을 광고하거나 매물 위치를 허위로 등록한 경우가 많았다. 허위로 매물 광고를 올린 중개사들은 모두 경고를 받았다. 경고 횟수에 따라 1회는 3일간 직방 이용정지, 2회는 7일 이용정지 처분을 받았다. 경고 3회 누적 공인중개사는 탈퇴 처리됐다.
직방 관계자는 "숫자를 정확히 밝히긴 어렵지만, 이번 조사에서 페널티를 받은 업체는 역대 최고 수준"이라며 "지난 3월 외지인이 많은 경북 구미에서도 공인중개사 10명중 3명이 페널티를 받았지만, 이를 훨씬 능가하는 수치가 나와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조사기간인 7~9월이 여름 성수기이기 때문에 계절적인 영향이 한몫했다"며 "여름 방학 기간에 원룸을 찾는 학생들의 매물 수요가 많아 허위매물도 덩달아 증가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중장기적인 경영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페널티 조치를 받은 사람이 많아 직방 매출은 당장 감소할 것"이라면서도 "허위매물로 피해를 보는 사람들은 매출 감소분 이상으로 줄 것이기 때문에 직방의 신뢰도는 오히려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10/30/20181030095017741231.jpg)
[사진=직방]
한편, 직방은 거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허위매물 아웃 프로젝트를 비롯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공인중개사 관리 강화의 일환으로 지난 8월부터 실시한 '중개사·중개보조원 본인인증' 제도는 빠른 시간에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매물실명제는 공인중개사의 명의도용을 방지하고자 시행한 정책이다. 기존에는 중개사·중개보조원이 휴대전화 번호를 바꾸거나 가명을 사용할 경우 개인별 페널티 이력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인인증을 실시한 후, 중개사·중개보조원에게 각각의 개인고유번호가 발급되면 꼼꼼하게 개인별 페널티 관리를 할 수 있다.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고객안심콜’ 제도도 운영하고 있다. 이는 불편사항을 이용자에게 직접 듣고, 허위매물을 안내한 공인중개사에 페널티를 주는 정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