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에서 실시한 아시아나항공 특별점검(7월22일~8월10일) 결과, 확인정비사 부족으로 하루 평균 10건 중 1건은 인턴 등 저경력자가 정비를 하는 등 문제점이 상당수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민경욱 의원(인천 연수구을)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아시아나항공 특별점검 결과 보고’ 자료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은 점검기간(7.1~7.22 중 특정일)에 530건 중 51건(9.6%)의 항공기를 확인정비사가 점검해야 할 부분까지 인턴과 저경력자가 정비하고, 확인정비사는 서명만 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항공사의 경우 확인정비사가 100% 점검하고, 인턴 정비사는 보조 역할만 담당하고 있다.
특히 자동화점검시스템을 운영하는 전기전자 및 객실 특기 정비사가 부족해 전기전자 계통에 반복결함이 잦고, 전체 객실 결함 4,081건(1.1~7.31)의 25%인 1,022건이 정비가 이월되는 등 정비인력 부족으로 인한 문제가 반복되고 있었다.
아시아나항공 측은 비용 절감을 이유로 해외 취항지에 파견한 주재정비사도 최근 5년간(‘14년~‘18년) 36개 공항, 47명에서 25개 공항, 33명으로 30%나 축소시켰다.
적정 정비시간(Ground-Time)도 부족했다. 항공기 출발 전·후 점검시간이 부족해 항공사 사규에 정한 최소 점검시간을 지키지 못한 사례가 최근 1년간 22%(26,247회 중 5,844회)로 가장 많았다.
항공기 운항 중 크고 작은 정비가 필요한 사항은 매월 1,300여건이 발생하고 있지만, 이 중 약 15%는 정비시간이 없어 해소하지 못한 채로 운항되는 등 승객의 안전도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정비를 하다가 스케줄상 시간이 부족해 끝까지 해소하지 못한 탓에 비행을 순연시킨 경우도 최근 6개월간 5% 내외로 발생했다.
이와 함께 아시아나항공 측은 예비부품 구매 투자도 인색해 땜질식 정비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나항공은 최근 3년간 항공기 한 대당 부품 구매예산이 대한항공보다 24%(대당 연평균 약 9억원)가량 적었다. 이로 인해 최근 3년간(‘15년~‘18.6월) 예비부품이 없어 지연 운항한 사례가 85건, 이 중 부품 조달시간이 오래 걸려 6시간 이상 장기 지연된 경우도 약 70%인 59건에 달했다.
예비부품 부족으로 인한 정비이월과 부품유용도 각각 년 300여건으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자회사인 에어부산·에어서울(35건)과 해외 정비소에 입고된 아시아나 항공기(17건)에서 부품을 빼돌려 운행 중인 아시아나 항공기에 설치한 경우도 있었다.(‘17년~‘18.6월)
국토교통부는 아시아나항공에 이어 대한항공도 특별점검을 실시했는데, 대한항공에서도 아시아나항공에서 발생한 문제들이 대부분 동일하게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국토부는 지난 21일, ‘항공사 적정 정비인력 산출기준 수립’ 연구용역을 발주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공청회를 비롯한 업계와 전문가들의 의견수렴 후 올해 안에 개선방안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민경욱 의원은 “항공사가 보유한 정비인력보다 항공스케줄이 과도하게 많고, 정비시간 뿐만 아니라 예비부품도 부족해 필수적인 예방정비가 제때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며 "정비는 승객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항공사는 적정 정비시간과 인력을 확보하고, 정비사들의 처우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민 의원은 "국토부는 항공기 운항안전 측면에서 인천국제공항에 'MRO 특화단지'를 추가로 조성해 자체 정비능력을 갖추지 못해 해외에 항공기 정비를 위탁하고 있는 저비용항공사들의 정비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