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9/20/20180920134323246480.jpg)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용 에너지 소비는 증가한 반면 가정용 에너지 소비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업종·용도별 에너지 소비 구조의 특성과 변화 등을 분석한 에너지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6년 우리나라 수요부문 전체 에너지 소비는 2013년 대비 연평균 2.4% 증가한 2억1541만9000toe(석유환산톤, 1toe는 원유 1t의 열량)다.
산업 부문의 에너지 소비는 2013~2016년 연평균 3.0% 증가했으며, 전체 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3년 59.4%에서 2016년 60.4%로 늘었다.
산업 부문 소비의 95.8%를 차지하는 제조업에서 석유화학 원료인 납사, 유연탄 등의 소비가 증가했다.
수송 부문은 2013~2016년 연평균 3.6% 증가했으며, 전체 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3년 20.1%에서 2016년 20.8%로 올랐다.
상업·공공 부문은 같은 기간 연평균 1.5% 증가했으며, 비중은 2013년 9.5%에서 2016년 9.2%로 줄었다.
가정 부문은 같은 기간 연평균 2.0% 감소했으며, 비중도 2013년 11.0%에서 2016년 9.6%로 감소했다.
가구당 에너지 소비는 2인 이하 가구 수의 증가로 2010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산업부는 에너지총조사 결과를 장기 에너지 수요 전망과 중장기 에너지정책 개발에 활용하고 에너지총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기업, 연구기관, 국민이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