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9/02/20180902164533665720.jpg)
보건복지부 시행령에 따라 지난 2001년부터 운영됐지만 세종시는 출범 6년이 지나서야 설치됐다. 지난 해 9월 유니세프(UNICEF)로부터 '아동친화도시'로 인증되면서 아보전 설치가 탄력받은 것이다.
그 동안 충남도 아보전이 세종 지역 아동학대 사례를 담당해왔다. 세종시아보전이 설치되면서 아동 학대에 대한 대처 시간과 조치 능력이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아동학대에 따른 위험이 높아지기 이전에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최악의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과 사후처리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다.
이 가운데 공권력 개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아동학대자들이 때론 위협적인 자세를 보이고 심지어 흉기까지 휘두르는 사례가 있는 것.
현재 시스템상 아동학대 사례가 발생되면 이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경찰관이 입회한다. 상호기관 간 시간을 조율해야 하고, 긴급한 상황에 직면하면 더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
세종시 아보전이 7월 개관하고 접수된 아동학대 신고 건수는 19건, 8월에도 10건이다. 충남도에서 세종시로 107건의 사례를 이관했고, 9월 이관 받을 사례도 42건이다. 개관 두 달도 채 안 돼 200건 가깝게 관리하고 있다.
세종시가 아동친화도시로 인증받은 만큼, 각 기관의 유기적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학교전담경찰관과 같이 아동학대전담경찰관 필요성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