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13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고위급회담을 개최하면서 이르면 이달 말 다음달 초 제3차 남북정상회담이 열릴지 주목되고 있다.
북측은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을 단장으로 박용일 조평통 부위원장, 김윤혁 철도성 부상과 박호영 국토환경보호성 부상, 박명철 민족경제협력위원회 부위원장으로 대표단을 꾸렸다.
지난 6월 1일 이후 두 달여 만에 열리는 이번 회담의 의제는 '4·27 판문점 선언 이행상황 점검'과 '3차 정상회담 개최 준비' 등 크게 두 가지다. 북측은 판문점 선언 이행을 통한 경제협력에, 남측은 항구적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남북정상회담에 방점을 찍고 있다.
이번 회담에서 3차 남북정상회담의 일정과 장소가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우리 측 대표단에 남관표 청와대 안보실 2차장을 처음으로 포함시킨 것도 정상회담 준비 협의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정상회담 관련 사항은 국가정보원과 북측 통일전선부 간 물밑접촉에서 이미 상당한 공감대가 형성됐을 가능성도 있다. 고위급회담은 이견 조율이 아닌 최종적으로 확정해 발표하는 자리의 성격이 강하다는 의미다.
이와 관련, 정상회담 시기는 이달 말에서 9월 초가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판문점 선언'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가을 평양 방문'이 적시돼 있지만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남북정상회담 시기를 당겨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북한은 비핵화 선제적 조치에 성의를 보였다며 체제 보장을 위해선 종전선언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은 좀 더 가시적인 비핵화 조치를 보여줘야 한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6월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이후 한달 째 교착상태에 빠져있는 비핵화·평화체제 협상에 속도를 내기 위해 문재인 대통령이 다시 중재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다음달 중순 뉴욕 유엔 총회에 앞서 남북정상회담이 열려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 북한으로선 유엔 총회 전 우리 측과 상황을 공유하고 종전선언 타임 테이블을 세우겠다는 의도가 짙다.
이 때문에 의전 등 준비할 사항이 상대적으로 많은 평양이 아닌 판문점이나 개성에서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번에 회담이 열린다면 문 대통령의 가을 평양 방문 추진 전 징검다리 성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제3차 남북정상회담은 비핵화·평화체제 문제를 한 단계 진전시킬 수 있는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추동하는 마중물이 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