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2017년 8월 열린 수원야행 모습. [사진=수원시 제공]](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8/07/20180807171635460173.jpg)
2017년 8월 열린 수원야행 모습. [사진=수원시 제공]
지난해 여름 처음 열려 20만 명이 넘는 관람객의 발길을 이끌었던 ‘밤빛 품은 성곽도시, 수원야행(夜行)’이 다시 돌아온다. 올해는 두 차례 열린다.
첫 번째 야행은 8월 10~11일 ‘행궁 그리고 골목길, 이야기 속을 걷다’를 주제로, 두 번째 야행은 9월 7~8일 ‘수원화성, 아름다움을 보다’를 주제로 진행된다.
화성행궁·화령전·행궁길·신풍동 일원에서 열리는 첫 번째 수원야행은 빛으로 장식된 골목길을 걸으며 문화재가 품은 역사를 느껴보는 감성체험이 주를 이룬다.
이미지 확대
![2017년 8월 열린 수원야행 모습. [사진=수원시 제공]](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8/07/20180807171732399443.jpg)
2017년 8월 열린 수원야행 모습. [사진=수원시 제공]
수원야행은 저녁 6시부터 11시까지 8야(夜)를 소주제로 한 문화재 체험프로그램으로 이뤄진다. 8야는 야경(夜景)·야화(夜畵)·야로(夜路)·야사(夜史)·야설(夜設)·야식(夜食)·야시(夜市)·야숙(夜宿)이다.
야경(밤에 보는 문화재)은 화성행궁·화령전, 수원전통문화관·수원한옥기술전시관·수원아이파크미술관·수원화성박물관 등 문화시설을 늦은 밤(11시)까지 관람하는 것이다.
올해는 무형문화재도 만날 수 있다. 화성행궁 중양문에서 경기도무형문화재 제14호 소목장 김순기 장인의 창호(窓戶) 전시가 열리고, 유여택·낙남헌에서는 경기도무형문화재 제8호 승무·살풀이춤 신현숙 전수교육조교의 살풀이와 신칼대신무를 볼 수 있다. 화성행궁 광장에서는 경기도무형문화재 제57호 불화장 이연욱 장인과 함께 화성행궁 단청을 그려보는 전통체험마당이 열린다.
수원 야행의 가장 큰 볼거리인 야화(夜畵, 밤에 보는 그림)는 화성행궁과 문화시설을 캔버스 삼아 빛으로 작품을 만드는 미디어아트(매체 예술)이다.
‘행궁, 빛으로 물들다’는 6인 6색 미디어아트 작품을 행궁 내 6곳의 공간에서 미디어 파사드(건물 외벽에 LED 조명을 비춰 영상을 표현하는 기법)로 펼쳐 보이는 것이다(행궁 야간특별관람권 소지자만 입장 가능). 이외에도 행궁광장에서는 증강현실, 터치 프로젝션 맵핑(대상물 표면에 빛으로 이뤄진 영상을 투사) 등 첨단 미디어기술을 활용한 작품을 만날 수 있다.
야로(夜路, 밤에 걷는 거리)는 화성어차, 수원화성 자전거 택시, 플라잉 수원 등 수원화성을 구석구석 감상할 수 있는 탈거리를 연장 운행하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2017년 8월 열린 수원야행 모습. [사진=수원시 제공]](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8/07/20180807171831117867.jpg)
2017년 8월 열린 수원야행 모습. [사진=수원시 제공]
야사(夜史, 밤에 듣는 역사 이야기)는 문화관광해설사 설명을 들으며 화성행궁 야경을 감상하고, 수원야행 프로그램을 관람하는 ‘행궁, 골목길 이야기 속을 걷다’ 등으로 이뤄진다.
야설(夜設, 밤에 보는 공연)은 수원화성 곳곳에서 ‘수원의 역사’를 주제로 펼쳐지는 다채로운 공연이다. 화성행궁 광장 내 산대무대에서 무예 24기 특별 야간 공연 ‘장용영의 후예들’, 전통연희 ‘수원야행 산대놀음’이 상연되고, 젊은 예술인들은 거리 곳곳에서 음악·댄스·마술 등 다채로운 공연을 펼친다. ‘오주석 서재’에서는 수원시립공연단의 클래식 공연이 열린다.
야식(夜食, 밤에 먹는 음식)은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다. 수원야행 기간 행궁동·북수동 일원 골목길, 거리에서 지역 상인들이 다채로운 먹거리를 판매한다.
야시(夜市, 밤 시장)는 예술체험을 하고, 물건을 살 수 있는 장터이고, 야숙(夜宿)은 수원화성 내 한옥 게스트하우스 등에서 숙박하면서 야행을 즐기는 것이다.
수원야행 기간에 행사가 열리는 행궁동 일원은 차 없는 거리로 운영된다. 될 수 있으면 대중교통으로 행사장에 오는 게 좋다. 첫 번째 야행 기간에는 오후 5시부터 11시까지 ‘수원제일감리교회→행궁동주민센터→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행궁광장입구→화성행궁주차장→남문로데오 청소년문화공연장’에 이르는 구간을 통제한다.
수원야행 세부 프로그램은 수원문화재단 홈페이지(http://www.swcf.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