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윗글에서 "약속을 지키고, 우리의 위대하고 사랑받는 실종 전사자들의 유해송환 절차를 시작한 데 대해 김정은 위원장에 감사한다"며 "이 같은 친절한 행동을 한 것이 전혀 놀랍지 않다"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달 27일 55구의 한국전쟁 참전 미군 전사자 유해를 미국에 송환했다. 마이크 펜스 부통령은 1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진주만 히캄 기지에서 유해 송환 공식 행사에 참석했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펜스 부통령은 행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이 약속을 지킨 데 대해 기뻐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 한반도의 평화를 가져오기 위한 우리의 노력이 이 같은 진전을 볼 수 있게 했다"며 "이 항공기에서 누가 나오든지 오늘부터 전사자 가족들을 위한 희망의 새 시대가 열리기 시작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전쟁에서 7700명의 미군 전사자가 실종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 중 5300명의 전사자가 북한에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송환된 유해의 신원을 확인하는 데 수년이 걸릴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유해들이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가는 데는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면서, 일부 가족들이 미국 정부에 확인 절차가 느리다고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미 국방부는 지난주 추가 유해 발굴을 위해 인력을 북한에 보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 국무부 당국자는 유해 송환이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 진전에 다시 희망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그러나 미 첩보위성 사진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을 제작하는 시설이 여전히 가동 중이라는 정황이 감지되고 있는 등 북한의 비핵화 약속 이행 여부에 대한 의혹은 여전하다고 로이터는 지적했다.
한편 주한미군 규모를 2만2000명 이하로 감축할 수 없도록 하고 대규모 철수를 북한 비핵화 협상의 대상으로 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의 2019 회계연도 국방수권법안(NDAA)이 이날 미국 상원을 통과했다. 법안은 지난달 26일 하원에서도 처리돼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으로 효력을 얻게 된다.
법안은 국방장관이 미국의 안보를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하거나 미 동맹국들의 안보를 뚜렷하게 약화시키지 않는 경우와 함께 한국과 일본을 포함하는 동맹국과의 협의가 이뤄진 경우를 제외하고는 주한미군 병력을 2만2000명 이하로 감축하는 데 국방 예산을 쓰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