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속도감 있는 혁신성장 정책 마련을 위해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의 지시에 따라 대한상공회의소 건물에 혁신성장본부를 신설, 지난 20일부터 20여명의 기재부 직원을 파견해 운영중이다.
정부 위주가 아닌, 민-관 합동으로 규제혁신과 함께 혁신성장을 전개해나가기 위해 민간 공간에 정부 기구를 둔 것이다.
이에 발맞춰 기재부는 정부와 민간 영역의 혁신성장 추진 속도를 맞추기 위해 민간 부문을 총괄하는 본부장을 새로 임명한다는 방침이다.
혁신성장본부는 고형권 1차관을 비롯해 이찬우 차관보, 방기선 정책조정국장 등 기재부의 경제정책라인이 집중된 조직이어서 민간분야에서도 이에 맞춘 현장 전문가들로 채워질 것으로 보인다.
혁신성장본부 한 관계자는 “이미 대기업을 비롯해 중견기업, 중소기업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의 목소리를 듣고 있다”며 “민간 본부장 뿐만 아니라, 다양한 민간 전문가들이 혁신성장본부와 협업에 나설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연 부총리 역시 지난 28일 혁신성장본부 워크숍에 참석해 “사무실에 있기보다는 현장에서 답을 찾으라”며 직원들을 독려하기도 했다.
실제 본부에는 상당수 직원들의 고정석을 두지 않는 등 업무 환경에도 변화를 준 상태다.
현재 혁신성장본부는 올해 말까지 운영되는 임시 조직이지만, 이후 정부와 민간의 다양한 협력 채널을 소화할 수 있는 별도 실국으로 승격될 가능성도 예고된다.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부진을 극복하기 위한 카드로 혁신성장이 대두되는 만큼 이후 혁신성장본부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놓을 경우, 임시부서보다는 상설 부서로 조직을 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특히, 내년 초 열리는 다보스 포럼이 아시아의 혁신 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만큼 혁신성장에 대한 안정적인 정책 마련이 필수라는 조언도 나온다.
고형권 1차관은 "혁신성장본부는 기재부만의 기구가 아니라, 각 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함께 만들어 나가는 조직"이라며 "본부가 혁신의 촉매역할을 하는 ‘혁신플랫폼’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