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6/19/20180619110748169455.jpg)
[사진=아주경제DB]
환경부는 통합물관리 비전포럼과 2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통합물관리 비전포럼(이하 통합물포럼)’ 제4차 전체회의를 연다.
이번 회의는 수자원, 수질, 방재 등 물관리 분야 민·관·학 전문가 200여명이 참여한다. ‘물은 환경이다’를 주제로 지난 8일 공포·시행된 정부조직법 등 물관리일원화와 관련된 3법 주요내용을 공유하고, 새로운 통합물관리 정책 방향을 모색할 계획이다.
전체회의 발제는 환경부 물환경정책 1건을 비롯해 수량, 수자원, 수질, 협치(거버넌스) 등 4건 정책제언과 정부조직 개편 방안 등 6건으로 구성된다.
제1발제는 송형근 환경부 물환경정책국장이 ‘물관리 일원화 현황 및 향후방향’을 주제로 발표한다. 환경부는 여름철 홍수대비 체계 정비 등 국토교통부에서 이관된 조직 및 기능 안착을 최우선으로 하고 이를 바탕으로 법·제도 통합, 물관리기본법 시행준비 등 통합물관리 체계를 고도화한다는 방침이다.
제2발제에서부터 제5발제까지는 박재현 인제대 교수(수량), 박성제 미래자원연구원 본부장(수자원), 하성룡 충북대 교수(수질), 염형철 환경운동연합 (전)사무총장(거버넌스) 등 전문가들이 분야별로 통합물관리 정책제언을 발표한다.
이어지는 제6발제에서는 박형준 성균관대 교수가 ‘정부조직 개편에 따른 성공적 연착륙 방안’이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패널토의는 허재영 통합물포럼위원장이 좌장을 맡는다. 송형근 물환경정책국장, 박하준 수자원정책국장, 박용규 상하수도정책관 등 환경부 간부들과 허준행 수자원학회장, 최희철 환경공학회장, 김성준 농공학회장 등이 참여한다.
김은경 환경부 장관은 “20여 년 긴 논의를 거쳐 마침내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통합물관리로 첫발을 내딛게 됐다”라며 “이번 통합물포럼과 같이 전문가, 시민단체 등과 협력해 새로운 통합물관리 체계가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