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당진항, 국제여객부두로 환골탈태…30일 착공

2018-05-29 11:00
  • 글자크기 설정

국비 1116억원 투입…2022년 완공 국제여객부두공사 본격 추진

'평택·당진항 국제여객부두' 조감도. 사진 = 해양수산부]



평택·당진항이 국제여객부두로 새롭게 바뀐다.

해양수산부는 평택·당진항 여객 터미널의 시설부족에 따른 이용객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평택·당진항 국제여객부두 건설공사'를 30일 착공한다고 29일 밝혔다.

평택·당진항에는 현재 5개의 여객 항로가 개설돼 지난해 기준 48만명의 여객과 22만TEU의 화물을 처리했다. 그러나 연면적 6128㎡의 터미널과 폰툰식(조석 고저의 차이에 관계없이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만든 부유구조물) 접안시설 2선석으로 운영돼 여객선 이용에 불편이 많았다.

이에 해수부는 평택·당진항 국제여객부두 시설개선을 위해 2006년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2008년부터 2014년까지 민간투자 유치를 추진해왔다. 그러나 민간사업자가 나타나지 않아 14년 재정투자사업으로 전환, 실시설계용역(2015~2017)을 거쳐 착공에 이르렀다.

국비 1116억원이 투입되는 국제여객부두 공사가 마무리되면 3만t급 카페리 등 국제여객선 4척이 동시에 접안이 가능한 시설을 갖추게 된다.

해수부 관계자는 "2022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완공되면 연간 61만명의 여객과 25만TEU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해수부는 이번 공사와 병행해 여객 터미널 사업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여객 터미널은 현대적 감각과 실용성, 상징성 두루 갖춘 복합여객터미널 형식으로 2019년까지 설계를 완료하고, 2020년에 착공해 부두시설 완공시기에 맞춰 완공할 예정이다.

김명진 해수부 항만개발과장은 "평택·당진항 국제여객부두 및 터미널 사업이 완료되면 한·중 교역 확대와 이용객 편의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평택·당진항이 남부 수도권 및 중부권의 대중국 교류와 권역 경제성장의 거점 항만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이번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