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의 핵 담판'을 앞두고, 북한과 미국이 기선제압용 힘겨루기에 나서는 한편, 상대방의 진의를 파악하기 위한 탐색전에 나서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반도 운전자론을 주창해온 우리 정부가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위해 어느 정도 중재자 역할을 할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24일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은 담화를 통해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의 '리비아 전철' 등 비난 발언을 문제 삼으며, 북·미 정상회담의 재검토를 다시 한번 언급했다.
그러나 이는 현재의 대화국면을 뒤집겠다는 것이 아니라,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회의론을 확산시키는 미국 행정부내 강경파의 입김을 잠재우려는 의도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북한과 미국은 힘겨루기 속에서도, '완전한 비핵화' 또는 '체제안전 및 경제지원' 등에 대한 상대방의 진의를 파악하는 데 주력하는 상황이다.
미 CNN 방송은 23일(현지시간) 행정부 고위관리의 말을 인용, 북·미 정상회담에 앞서 북한과의 고위급 대화 가능성을 제기했다.
제3국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그의 북측 카운터파트인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회동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날 기자들과 만나 "무엇이 되든, 우리는 싱가포르(회담)에 관해 다음 주 알게 될 것"이라고 했다는 점에서, 늦어도 다음 주 안에 접촉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따라서 미국은 고위급 대화를 통해 북한의 비핵화 의도를 재확인하고, 정상회담 개최 여부를 최종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 22일 한·미 정상회담 결과를 바탕으로, 비핵화 방식과 체제안전 보장,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북·미 간 ‘중재 역할’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앞서 문 대통령은 21일부터 1박4일 방미 기간 미국내 대북 불신을 해소하는 데 주력, 한·미 정상이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비핵화 방식에 대해 "일괄타결 방식이 좋다"면서도 "그런데 정확히 그렇게 하는 게 불가능할 수도 있는 어떤 물리적 이유가 있다"고 말해 협상 여지를 남겼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조만간 남·북 정상 간 핫라인(Hot Line·직통전화) 통화를 통해 지난 22일 한·미정상회담 결과를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직접 전달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트럼프식 비핵화 모델’에 대해 설명하며, 의견 조율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나아가 남·북·미 종전선언 방안까지 논의할 가능성도 있다.
문 대통령은 또 남북 고위급회담 재개를 통해 판문점 선언 이행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4일 기자와 만나 "(남북고위급회담은) 이미 한번 (추진하다가) 무산된 것이기에 다시 한번 접촉해볼 수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한·미 연합공중훈련인 맥스선더가 종료되는 25일 이후 남북대화가 재개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