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5/16/20180516134443447142.jpg)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6일 오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새로운 문화정책 기조인 '사람이 있는 문화-문화비전 2030'을 발표하기에 앞서 블랙리스트 사태에 대해 사과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블랙리스트 사태에 대해 깊이 성찰하고, 제도 개선안을 이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6일 오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지난 1년간 문체부 당면과제는 국민의 신뢰 회복이었다"며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태에 대해 공식으로 사과했다.
문체부는 이날 블랙리스트 사태 재발을 방지하고, 사람이 있는 문화를 만들기 위한 '새 예술정책(2018~2022)'을 발표했다.
우선 한국문화예술위원회를 공공기관에서 제외하고, '한국예술위원회'로 명칭을 변경해 독립기구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박근혜 정부 당시 블랙리스트 실행기관으로 지목된 바 있다.
예술표현의 자유도 대폭 보장한다. 이를 침해하는 행위에 대해 처벌 규정을 마련하고, 예술보호관(가칭)을 신설하는 내용이 새 예술정책에 담겼다. 성폭력 범죄자 등은 정부 지원에서 배제하는 등 성 평등 문화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새로운 문화정책 기조로는 '사람이 있는 문화-문화비전 2030'을 제시했다. 문화비전 2030은 9개 의제와 37개 대표과제로 구성됐다.
9개 의제는 △개인의 문화권리 확대 △문화예술인·종사자 지위와 권리 보장 △성 평등 문화의 실현 △문화 다양성의 보호와 확산 △공정하고 다양한 문화생태계 조성 △지역 문화 분권 실현 △문화자원의 융합역량 강화 △미래와 평화를 위한 문화협력 확대 △문화를 통한 창의적 사회혁신 등이다.
도 장관은 "사람이 있는 문화는 누구나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환경에서만 실현할 수 있다"며 "우리의 문화정책이 문화예술 영역을 넘어 사회정책의 주요 요소로 확장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