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서울외환시장에는 북·미 정상회담 일정 논의와 미국의 이란 핵 협정 탈퇴 소식 등이 전해졌고 이날 원·달러 환율은 1080.9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달 1050원대까지 떨어졌던 원·달러 환율의 상승세가 가파르다. 이달 들어 종가 기준으로 지난 8일을 제외하고는 줄곧 상승 마감했다. 환율 상승은 수출업체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하지만 적정 환율과의 괴리가 커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국내 수출업체들은 적정 환율을 평균 1073원 수준으로 보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차이가 있지만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실제 원유 공급 중단까지는 시일이 소요되지만 현실화할 경우 유가 급등을 피할 수 없을 것이란 관측이다. 원유를 수입하는 입장에서 국제 유가 상승은 달러화 강세 요인이다.
전승지 삼성선물 연구원은 "전반적으로 달러화 강세 분위기가 우세하다"며 "국제 유가가 70달러를 돌파한 가운데 당분간 유가 흐름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3%를 돌파한 것도 환율 변동성을 키우고 있다. 주요국과 비교해 미국의 금리 상승이 확대되면 해외 투자자금 유입이 늘어나고, 이는 달러화 강세로 이어지는 게 일반적이다.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가속화, 확대 재정정책에 따른 물량 부담 등이 예상되면서 이 같은 우려는 좀처럼 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올해 세 차례 이상의 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외환시장에서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도 위험 요소로 꼽았다. 최근 소강상태에 접어들었지만 양국의 강경 기조가 쉽게 풀리지는 않을 것이란 관측에서다. 두 나라의 무역전쟁은 지난달 외환시장 흐름을 좌지우지했다. 갈등이 고조된 지난달 6일에는 원·달러 환율이 전거래일보다 9.9원 급등했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미국의 추가 조치를 감안할 때 단기적으로는 갈등이 확대될 우려가 크다"며 "보호무역주의 리스크가 커질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