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최고위층이 중국을 전격 방문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 새로운 변수가 있는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우리 정부는 공식적으로 확인해줄 수 없다면서도 북·중 최고위층 만남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은 "현재 정부는 관련 상황을 면밀히 파악 중에 있다"며 "중국과 북한에서도 공식 발표가 나오지 않은 만큼, 현시점에서 확인해 드릴 내용은 없다"고 밝혔다.
노 대변인은 중국 당국으로부터 확인된 정보가 있느냐는 질문에 "한반도 상황과 관련된 사안에 대해서는 한·중 간 각급에서 긴밀히 공조하고 있다"고만 답변했다.
하지만 서울과 베이징 등의 외교가에선 여러 정황으로 볼 때, 전용기편으로 다롄을 전격 방문한 인사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직접 만나 의논해야 할 만큼, 중대한 사안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이동률 동덕여대 중어중국학과 교수는 "새로운 변수가 생겼거나, 북·미회담이 북한이 생각했던 대로 잘 안되고 있는 게 아닐까 싶다"며 "미국으로부터 새로운 협상의제가 왔거나 하는 등 북한이 중국과 급하게 조정해야 할 일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의 방북까지 감안할 경우, 북한 최고위층의 방중과 관련해서는 북한과 중국이 예상치 못한 새로운 변수가 생겼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또 북·중 정상 회동이 이뤄질 경우, 북한이 중국을 우군으로 삼아 북·미협상의 균형점을 이루며 미국과 대등하게 협상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란 풀이도 가능하다.
미국은 최근 북한 비핵화 수준을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CVID)' 에서 '영구적이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 (PVID)'로 끌어올리고 있다.
특히 생화학 무기와 인권 문제 등을 거론하며 대북 압박수위를 높이는 상황이어서, 북한은 중국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북한이 북·중 우호 관계를 미국에 과시하며 미국의 일방적 비핵화 밀어붙이기에 호락호락 넘어가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출할 개연성도 있다는 것이다.
최악의 경우 미·북 회담이 취소되거나 열린다 해도, 협상이 결렬될 상황에 대비해 '보험' 성격으로 중국의 활용가치가 높은 점도 있다는 설명이다.
중국의 입장에서도 북·미 회담을 앞두고 북한과 밀착하는 모양새가 전략적으로 유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남북정상회담 이후, 중국이 배제되는 '차이나 패싱'이 거론된 상황에서 이번 북·중 만남은 중국의 역활론을 부각시켜 남·북·미·중 4자 구도로 국면을 전환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미국이 완전한 비핵화가 확인되기 전까지 대북제재를 풀 의향이 없다고 공언하는 상황에서, 제재의 숨통을 터줄 수 있는 곳은 중국밖에 없다는 것도 북·중 접촉의 중요한 이유로 거론된다.
대북제재 완화의 경우, 북한 입장에서 중국과의 공조를 강화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판단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