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정상회담 준비를 위해 북한과 미국이 비밀리에 직접 만남을 갖고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CNN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CNN은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하여 “지금까지 북·미 정보당국 관료들이 정상회담 장소를 확정하는 데 초점을 맞춰 여러 차례 대화를 나눴으며 제3국에서도 만남이 있었다”고 보도했다.
북한은 김 위원장의 정상회담 제의를 공개적으로 선언하지 않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수락한 것은 인지하고 있으며, 김 위원장이 한반도 비핵화를 기꺼이 논의할 용의가 있다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CNN은 전했다.
현재 북·미 직접 회담은 대통령의 전폭적인 신임을 받으면서 차기 국무장관으로 지명된 마이크 폼페이오 중앙정보국(CIA) 국장이 비공식 정보 채널을 통해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보당국 간 채널을 활용하는 이유는 아직 폼페이오 국장이 국무장관에 취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폼페이오 지명자에 대한 상원 인사청문회는 오는 12일 열릴 예정이며 무난히 의회의 문턱을 넘는다면 이달 말 공식 취임하게 된다.
북·미 양국은 우선 정상회담 장소를 합의한 뒤 회담 날짜와 의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앞서 북·미 정상회담은 5월로 예고됐으나 준비 상황에 따라 5월 말이나 6월에 개최될 가능성도 나왔다.
CNN에 따르면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한 모든 사안은 폼페이오 국장과 오는 9일 취임을 앞둔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 내정자가 지휘하고, 매슈 포틴저 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이 부처 간 실무 조율을 맡을 예정이다. 국무부에서는 수전 손턴 동아태 차관보 지명자가 현재는 지휘 책임을 지고 북한정책 특별대표 대행인 마크 램버트 한국과장이 '뉴욕 채널'을 통해 북한 당국자들과 직접 협상을 한다.
한편 북·미 정상회담 장소로는 여러 외신을 통해 스톡홀름, 울란바토르, 단둥 등 다양한 장소가 떠오르고 있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북·미 관계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하여 스웨덴과 몽골이 자국 수도를 북·미 정상회담의 장소로 제안했다고 7일 보도했다.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에서 '중국역할론'이 강조되면서 북·미 정상회담이 중국에서 열릴 가능성도 나왔다.
홍콩 정론지 아주주간(亞洲週刊)은 8일 최신호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달 만나서 북·미 정상회담을 베이징에서 개최하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북·중 정상회담이 중국에서 열리더라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도 베이징을 회담 장소로 받아들일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시각도 있다. 북·미 정상회담을 중국이 주재한다는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북·중 접경지역에 위치한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도 회담장소로 거론된다. 이곳엔 북한 신의주까지 연결되는 철교인 압록강대교, 중국어로 중조우의교(中朝友誼橋)가 있는데 이곳서 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유력하다는 것. 완전히 중국 땅도, 북한 땅도 아닌 접경지역인만큼 미국으로서도 받아들이기 수월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우리나라 판문점에서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신문은 전했다. 비록 상징적 의미가 있고 중립지역이긴 하지만 이미 4월말 남북 정상회담이 판문점에서 열리는만큼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누가 먹고 남긴 빵을 먹는 걸' 절대 좋아하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오히려 판문점보다는 제주도에서 열릴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있다.
일각에서는 조지 H.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1989년 이탈리아 지중해 작은 섬나라인 몰타 해역에 정박된 소련 선박에서 '선상회담'을 가진 것처럼 색다른 곳에서 회담이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한다고 신문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