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산 돈육·과일·폐알루미늄 등에 30억 달러(약 3조2000억원) 보복 관세를 부과한데 이어 미국산 대두·자동차·항공기 등에 대한 500억 달러 고율 관세 카드를 꺼낸 중국의 추가 보복 조치는 무엇이 남았을까.
미·중 양국이 '관세 폭탄'을 서로 주고받은데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또 다시 중국산 수입품 1000억 달러어치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을 지시한데 대해 중국이 강력 반발하며 미·중 무역갈등이 확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관영 환구시보는 7일 게재한 '미·중 무역이 '제로'가 되더라도 중국은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는 제하의 사평에서 "중국 정부가 '그 어떤 대가도 치를 것'이라고 말한 것은 매우 예사롭지 않다"고 평했다.
사평은 트럼프 대통령이 1000억 달러 추가 관세를 중국 제품에 부과한다고 발표한 것은 미국으로 수출되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무차별 타격'이라며 중국도 미국산 제품에 '융단식 폭격'을 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사평은 미국산 상품 이외에 서비스 분야, 미국기업의 중국 투자 등이 폭격 목표물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실제로 중국의 대(對)미 수출·입 통계를 살펴보면, 중국이 미국에 맞서 미국산 상품 1000억 달러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게 시장의 분석이다.
중국의 지난해 대미 수입액이 1593억 달러에 달한다. 미국산 대두 등 농산물과 자동차, 항공기 등 530억 달러 상당의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이미 선언한 중국이 미국산 상품에 또 1000억 달러 추가 관세 부과 조치를 한다면 사실상 대미 수입품 전체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게 된다.
중국 전문가들도 중국 정부가 금융, 관광, 교육, 영화 등 서비스 분야나 미국기업 투자 제한 등 상품 관세 부과 이외 다른 수단을 사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둥옌 중국 사회과학원 세계경제정치연구소 연구원은 홍콩 명보를 통해 "미국기업의 중국 투자나 서비스 분야를 겨냥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이 가진 최후의 보복 수단은 미국 국채 매각이 될 것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미국의 최대 채권국인 중국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1조2000억 달러어치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다. 해외 보유한 미 국채의 19%에 달하는 규모다. 만약 중국이 미국 국채 매각에 나선다면 미국 경제에 커다란 타격을 입힐 수 있다.